인천 연수구와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송도국제도시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폐기물을 문전수거하기로 합의하면서 송도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20일 인천경제청과 구에 따르면 지난 19일 송도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 분쟁에 대한 중앙분쟁조정위원회의 최종 조정안을 수용하면서 음식물 폐기물을 RFID 종량기로 분리수거하거나 대형감량기로 자체 처리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합의했다. 이들 음식물 폐기물 처리 방안은 모두 문전수거 방식으로 볼 수 있다. 종전에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이송 관로를 통해 수거하던 방식과 달리 수거차량 등을 동원해야 음식물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인천경제청은 이번 최종 조정안 등을 근거로 현재 추진 중인 ‘송도국제도시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수집)시설 타당성 검토 및 송도 11공구 기본계획 수립 용역’에서도 음식물 폐기물 감량기의 도입 여부 등을 함께 검토한다. 이는 분쟁 조정 과정에서 음식물 폐기물 감량기의 도입도 살펴봐야 한다는 구의 요구를 인천경제청이 받아들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송도주민들은 이 같은 구와 인천경제청의 합의 내용에 대해 반발하고 있다. 이미 아파트 등을 분양받을 당시에 음식물 폐기물 등을 함께 처리할 수 있는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에 대한 비용을 분양가로 냈기 때문에 갑자기 문전수거 방식으로 바꾸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구와 인천경제청은 관련 규정의 개정으로 종전의 방식대로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을 통해 음식물 폐기물을 수거할 수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환경부는 지난 2018년 ‘쓰레기 수수료 종량제 시행지침’ 개정을 통해 음식물 폐기물의 분리 집하와 재활용이 불가능하면 문전수거 등 별도의 방법으로 수거하도록 정한 상태다.
구 관계자는 “RFID 종량기로 분리수거하거나 대형감량기로 자체 처리하는 방안 등에 대해 확정한 부분은 아직 없다”고 했다. 이어 “앞으로 음식물 폐기물의 처리 방안을 결정하고 추진하는 과정에서 송도주민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