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5개 구와 '자원순환센터 설치' 공동협약

28일 인천 남동구 인천시청 대접견실에서 열린 ‘자원순환센터 마련을 위한 광역-기초 지방정부간 공동협약식’에 참석한 오흥석 시 교통환경조정관(왼쪽부터), 이강호 남동구청장, 고남석 연수구청장, 김정식 미추홀구청장, 박남춘 시장, 허인환 동구청장, 홍인성 중구청장, 조택상 균형발전정무부시장이 협약서를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인천시 제공
28일 인천 남동구 인천시청 대접견실에서 열린 ‘자원순환센터 마련을 위한 광역-기초 지방정부간 공동협약식’에 참석한 오흥석 시 교통환경조정관(왼쪽부터), 이강호 남동구청장, 고남석 연수구청장, 김정식 미추홀구청장, 박남춘 시장, 허인환 동구청장, 홍인성 중구청장, 조택상 균형발전정무부시장이 협약서를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인천시 제공

인천시와 중·동·미추홀·연수·남동구가 자원순환센터(소각시설) 설치를 위해 힘을 모은다.

28일 시에 따르면 이날 중·동·미추홀·연수·남동구와 ‘자원순환센터 마련을 위한 광역-기초 지방정부 간 공동협약’을 했다. 이번 협약은 2026년 가연성 생활폐기물의 직매립 금지를 대비해 신규 자원순환센터를 설치할 최적의 장소를 찾자는 취지에서 이뤄진 것이다.

시와 이들 구는 협약에 따라 자원순환센터의 입지 선정을 위한 법률적 절차인 입지선정위원회를 구성하고 입지 후보지 타당성 조사 용역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특히 시는 자원순환센터 건립 과정에서 주민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주민 수용성을 확보하기로 했다. 또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법령에 기초한 입지 선정, 안전한 시설건립, 투명하고 공정한 운영 등을 위한 체계적인 주민 참여방식을 마련하기로 했다.

현재 미추홀·연수·남동구와 옹진군 등 4개 군·구의 생활폐기물을 소각하는 송도 자원순환센터는 2025년 생활폐기물 발생량과 비교해 소각시설 용량이 부족한 상태다. 여기에 중·동구의 발생량까지 포함하면 용량 부족은 더욱 심화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시는 그동안 신규 자원순환센터 설치를 추진해왔다.

박남춘 시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투명하고 객관적인 입지 선정이 이뤄지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어 “인천시민과 정치권이 함께 깨끗하고 안전한 자원순환시설을 만들어 인천이 친환경자원순환을 선도하고 더 나아가 2025년에 수도권매립지 종료가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민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