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학기 등교 확대 방역 강화해 학습결손 보완해야

코로나19 확산세가 연일 거센 가운데 10일 신규 확진자 수가 1천540명 늘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시작된 4차 대유행이 비수도권으로 번져 지난달 7일부터 35일 연속 네 자릿수를 나타내고 있다. 수도권의 경우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적용이 6주 연속이다. 방역당국이 추이를 보며 완화 여부를 결정하겠지만 고강도 거리두기가 지속되면서 피로감과 경제적 피해가 심각하다. 현재는 백신 접종에 따른 집단면역까지 시간이 필요하고, 델타 변이 확산과 백신 접종 후에도 확진되는 ‘돌파 감염’이 많아 거리두기를 완화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교육부가 최고 방역단계인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에서도 학생 3분의 2 수준의 등교를 허용하기로 했다. 3단계 때는 전면 대면수업을 허용한다. 당장 다음 주로 다가온 개학부터 4단계 적용 지역의 경우 유치원, 초등학교 1ㆍ2학년, 고3 학생은 전면 대면수업을 진행한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9일 “2학기 전면 등교 결정은 쉽지 않았지만 학교의 문을 더 여는 길을 선택했다”고 밝혔다. 거리두기 4단계에선 전면 원격수업이 원칙이지만 학생들의 학력 및 사회성 저하 문제가 더욱 심각해진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정부는 다음 주 개학부터 9월3일까지를 대면 수업과 방역에 적응하는 집중 방역주간으로 설정했다. 교직원의 백신 2차 접종이 대부분 완료되는 9월6일부터는 등교 인원이 본격적으로 확대된다. 각 학교가 가능한 한 학교밀집도 기준을 지켜야 하지만 지역별, 학교별 상황에 따라 자율성이 보장된다.

학교와 학부모들은 교육 결손을 고려하면 대면수업을 하는게 맞다고 생각하면서도 코로나19 확산세가 심각한 상황에서의 등교는 위험한 것 아니냐며 우려하고 있다. 등교를 환영할 수도, 그렇다고 무기한 원격수업을 할 수도 없는 어려운 상황이다.

코로나19 확산으로 1년 이상 등교가 제한적으로 이뤄지면서 학력 격차가 벌어졌다. 특히 저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사회성 발달 부족, 언어능력과 신체발달 위축 등도 우려된다. 때문에 일부 국가들에선 코로나19 확산에도 등교를 장려하고 있다.

전파력 강한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우세종이 됐고 어디서 감염됐는지 모르는 깜깜이 감염이 30%를 넘는다. 학생 감염이 학교보다 지역사회나 가정에서 더 많이 발생했다고 하지만 안심할 수 없다. 어차피 2학기 등교가 불가피하다면 안전을 위해 방역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어렵게 학교 문을 열게 됐는데 교내 집단감염이 속출하면 등교 수업은 또 힘들다. 교육과 방역 당국은 세심하고 철저한 방역수칙을 마련하고 만반의 대비 태세를 갖춰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