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언론인클럽 토론회, "한국정치, 공존과 포용으로 사회적 갈등 해소"

(사)경기언론인클럽 주최로 25일 오후 수원시 선거연수원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패널들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와 한국정치의 변화'란 주제로 토론을 벌이고 있다. 김시범기자
(사)경기언론인클럽 주최로 25일 오후 수원시 선거연수원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패널들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와 한국정치의 변화'란 주제로 토론을 벌이고 있다. 김시범기자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다양한 정치적 갈등을 공존과 포용으로 해소해나가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경기언론인클럽(이사장 신선철)과 선거연수원은 25일 수원 선거연수원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와 한국 정치의 변화’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경기언론인클럽 신선철 이사장 등 최소한의 내빈과 패널만 참여한 가운데 개최됐다.

먼저 이준한 인천대 교수는 발제를 통해 “코로나19 전후의 한국인 인식비교에 대한 과학적 분석은 과제로 남아 있지만 지역주의 차원에서는 큰 변화가 없는 것”이라면서 “코로나19 영향으로만 볼 수는 없지만 과거 4년 사이에 진보는 감소하고 중도는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이 교수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한국 민주주의는 다양한 정치적 갈등을 공존과 포용으로 해소할 과제를 안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신율 명지대 교수를 좌장으로 윤광일 숙명여대 교수, 최요한 시사평론가, 오재호 경기연구원 연구위원, 조성대 한신대 교수 등이 참여한 토론에서는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

윤광일 교수는 “한국정치는 역사적으로 형성된 사회구조적 갈등과 함께 코로나 이후 새롭게 대두될, 혹은 기존 균열과 중첩되거나 교차할 갈등에 맞닥뜨릴 것”이라며 “경제적 양극화는 더 극심해지고, 세대와 젠더갈등도 이와 중첩된 양상을 드러낼 것”이라고 예측했다.

또 최요한 평론가는 “한국은 사회적 위계질서와 관계없이 성숙한 시민의식으로 평등한 방역 혜택을 받을 수 있었다”며 “그러나 정치ㆍ경제적 양극화는 극단주의적 성향의 정치 세력을 전면화시켰고, 경제 불안의 심각한 후유증을 남겼다”고 지적했다.

오재호 연구위원은 “갈등을 완화하려면 지역, 성별 등 사적 이익과 권리를 내세우기에 앞서 모두가 함께 실현하고자 하는 가치 우선순위를 정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조성대 교수는 “여ㆍ야ㆍ정 협의체를 가동하고, 행정부의 국회존중과 사회적 협치 강화 등을 모색하자”고 제안했다.

최현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