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소영 보건의료노조 경기본부장 "공공의료, 땜질식 대응으론 악순환 되풀이"

백소영 민노총 보건의료노조 경기본부장

“땜질식 대응책으론 앞으로 반복될 감염병도, 국민에게 적절한 의료 서비스도 제공할 수 없습니다.”

백소영 민주노총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경기지역본부장은 27일 경기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코로나 전사들이 총파업을 꺼내 든 이유를 “늦었지만, 이제라도 공공의료와 인력을 확충해야 한다는 절실함 때문”이라고 밝혔다.

노조 측의 요구안이 중ㆍ장기적 대책이 필요한 사안이라는 지적엔 “공공의료와 관련해 장기ㆍ중장기적으로 머리를 맞대 정책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고, 단기적으로 해결해야 할 것은 정부가 당장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단기에 해결해야 할 사안으로 노조 측이 주장하는 것은 ▲감염병 대응 적정 인력 기준 마련과 확충, 훈련 ▲적정한 보상이다.

백 본부장은 “코로나19 전담 의료진들은 1년 7개월째 대응을 하다 보니 번아웃이 온 상태다. 코로나 환자가 늘어나면 위중증 환자도 동시에 늘어나 인력은 더더욱 부족한데, 병상은 더 열어야 하는 악순환이 되풀이 되고 있다”며 “필요 인력을 지금이라도 교육하고 보충해 정규 편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특히나 ‘위드 코로나’가 시작되면 당분간 환자는 더 늘어날 거다. 이에 대비해서라도 인력 문제는 반드시 해결돼야 한다”며 “정부차원의 전문가 양성, 인력 수급 계획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감염병이 끝나면 편성된 전문 정규 인력이 유휴 인력으로 남을 우려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백 본부장은 “공공의료 간호사 인력이 부족한 상황이어서 인력이 더 투입된다 해도 유휴 인력으로 남지 않을 것”이라며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등 현재 인력이 부족한 부문에 채우고, 육아휴직과 휴직 등을 제대로 이용할 수 있게 하면 적정 인력이 운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파견인력과 세 배 가량 차이 나는 임금 격차는 현장 의료인력에 허탈감을 주고 있다”며 “정부가 한시적으로 코로나19 전담병원 대응인력 지원금을 편성해 지급했는데 한시 편성이 아닌, 생명수당 등 처럼 제도화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