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전방전위증은 척추뼈가 밀리게 되면서 발생한다. 위 척추뼈가 아래 척추뼈보다 앞으로 밀려가면서 배 쪽으로 튀어나와 신경을 손상시키는 질환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의하면 척추전방전위증을 호소한 환자 수는 지난해에만 18만9천58명이다. 50대 이상이 93.8%를 차지했고, 여성이 두 배 이상 더 많았다.
척추전방전위증을 겪는 젊은 세대는 교통사고 등 외상이 많다. 50대 이상은 외상뿐만 아니라 척추의 퇴행으로도 발생한다. 심하면 엉덩이나 하지 마비를 일으키기도 한다. 허리를 바르게 편 상태에서 척추 뼈를 만져봤을 때 척추 한 곳이 툭 튀어나온 것처럼 느껴지거나 그 부위가 아프다면 병원을 서둘러 찾아야 한다.
대표적 증상으로는 허리 통증, 다리 저림,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날 때의 허리 통증, 앉아 있다가 일어서거나 허리를 뒤로 젖힐 때의 통증, 오래 서 있거나 많이 걷고 난 후 허리나 엉치뼈 부근 또는 무릎 밑의 통증 등도 있다.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보존요법을 해서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다. 평소에는 소염진통제와 근이완제를 복용하며 침대에 바르게 누워서 안정을 취해야 한다. 물리치료와 체외충격파를 병행하고, 척추 뼈의 재정렬을 위해 도수치료를 받으면서 통증을 완화시키는 것이 좋다.
보행이 어려울 정도의 심한 증상이 나타나면 시술 또는 수술치료를 해야 한다. 유착이 심한 경우에는 경막외 신경성형술을 통해 유착을 제거하는 시술을 한다. 중증의 척추전방전위증은 질환 부위의 척추뼈를 고정하는 유합술을 시행해야 한다. 유합술은 수술 후 허리의 사용을 자제해야 할 정도의 큰 수술이다.
교통사고 또는 외상 후 척추가 툭 튀어나온 것처럼 느껴지면 병원을 빨리 찾는 것이 좋다.
김도영 연세스타병원 원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