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읽기] 한 아이를 위해 온 마을이 필요하다

2020년 초부터 시작된 코로나19 감염의 확산이 2년여 가까이 이어지고 있다. 초기에는 그동안 경험해 왔던 전염병들처럼 잠시 주의하고 노력하면 상황이 나아질 거라 생각하며 지냈으나 생각과는 다르게 상황이 나아지지 않았고 여전히 앞을 예측할 수 없는 시간을 보내고 있다.

코로나19는 개인과 가정, 사회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감염 예방을 위해 마스크 쓰기는 일상이 됐고, 아이들은 학교에 가지 못하는 날이 늘어갔으며 사회활동은 비대면으로 빠르게 변화해갔다.

이제는 코로나19에 적응해가며 멈춰졌던 일상이 조금씩 변화해 나아가는 것 같다. 재택근무가 도입돼 정착하기 시작했고, 아이들은 학교에 가지 않고 비대면 원격 수업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게 됐다. 미래사회에나 있을 법한 일들이 현실로 다가온 것이다. 하지만 이면에 나타나는 문제점에 대해서는 크게 고려되지 않는 점이 아쉽다. 어른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특히 아이들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등교 제한으로 말미암은 돌봄의 공백, 학업 격차, 학대와 안전 문제 등 아동과 가정에 걸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20년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에서 발행한 ‘코로나19 상황에서 학교와 지역사회 협력에 대한 기대: 아동복지종사자 인식을 중심으로’ 한 학술 자료를 보면 코로나19로 인한 아동의 주요 어려움은 ‘방임시간이 길어지는 것’과 ‘학습격차’였다.

지난해 돌봄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한 초등생 형제가 코로나19로 인해 학교에 가지 못하고 원격 수업을 받던 중 보호자가 없는 집에서 발생한 화재로 참변을 당하는 사건이 있었다. 취약계층 자녀를 위한 돌봄 시스템의 사각지대에서 발생한 안타까운 일이었다. 부모의 방임에 의해 벌어진 사건이기도 하지만 학교가 문을 열어 돌봄 공백을 피했더라면 일어나지 않을 참사였을 것이다.

뉴스에 나온 사건이 아니더라도 최근 많은 아이가 코로나19 상황 속에 부모가 없는 집에서 혼자 시간을 보내거나 돌봄의 사각지대에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사건들이 우리 주위에서 일어나고 있다. 아이들을 키우며 사회활동을 하고 있는 나에게도 이러한 문제들은 현실적으로 다가오고 있다.

아프리카 속담 중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말이 코로나 시대에 더욱 절실하게 다가오는 것 같다. 아이들이 학교에서 마스크를 벗고 마음껏 친구들과 어울리고 공부할 수 있는 날이 속히 오길 바란다. 돌봄 사각지대에 있는 아이들의 안전과 돌봄 공백을 줄이고 학습결손을 돕기 위해 무엇보다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가 함께 협력해 코로나 상황 가운데 우리 아이들이 잘 자라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신은미 수원YWCA 팀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