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공공버스 교섭 결렬, 지하철은 파업…도민 발길 묶이나

경기지역자동차노동조합이 지난달 4일 고용노동부 경기지청에 단체교섭 거부에 따른 부당노동행위로 이재명 경기도지사를 고소하기에 앞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장희준기자

이재명 경기도지사에 대한 고소전으로 비화됐던 ‘경기도 공공버스’ 임금교섭이 끝내 결렬됐다.

추석 연휴가 끝난 뒤 버스 총파업 투표가 예고된 상황에서 당장 서울시 지하철도 14일부터 파업에 돌입, 도민들의 출근길에 ‘빨간불’이 켜졌다.

경기지역자동차노동조합은 임금교섭 결렬에 따라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 조정신청을 접수했다고 13일 밝혔다. 또 내달 초 공공버스와 민영제 노선을 포함한 전 조합원 총파업 투표를 예고했다.

노조에는 도내 버스운수 노동자 1만명 이상이 조합원으로 가입돼 있으며, 올해 단체교섭에는 노조 소속 15개 지부와 교섭권을 위임한 인천ㆍ강원지역 4개 지부까지 총 19개 지부가 참여했다. 이는 경기지역에서 공공버스를 운행하는 업체 37곳 중 과반에 해당하며, 버스 대수로만 따져도 전체의 38%를 차지한다.

노조는 이재명 지사가 주요 시책으로 추진해온 경기도형 준공영제 ‘공공버스’의 2021년도 임금 단체교섭에 도가 불참하고 있다는 것에 반발하고 있다. 반면 도는 인건비에 대한 세부적인 결정권이 직접 사용자인 사측에 있다는 입장이다. 대립이 계속되자 노조는 지난달 4일 고용노동부 경기지청에 부당노동행위로 이 지사를 고소한 바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노동조합이 14일부터 파업에 돌입한다.

서울시는 공사ㆍ코레일ㆍ경찰 등과 협력,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파업 당일 오전 9시부터 파업 종료까지 비상체제를 가동한다는 방침으로, 출근 시간대에는 정상 운행하되, 낮 시간대는 평시 72.6∼79.8% 수준으로 운행할 예정이다.

시는 노조가 파업에 들어가도 필수유지인력이 있는 만큼 지하철 수송기능에는 큰 차질이 없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다만 파업이 8일 이상 연장되면 비혼잡 시간대 열차 운행률을 평시 60%대까지 감축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어, 지하철을 이용하는 도민들의 발걸음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장희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