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선진 공항 위상 드높인다
인천국제공항이 인공지능(AI) 자동관제 시스템 등 ‘스마트 관제플랫폼’ 구축을 본격화하며 글로벌 선진 공항으로의 위상을 드높일 전망이다.
3일 인천공항공사에 따르면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T2) 및 4단계 확장지역(T2 확장), 북측원격계류장, 항공정비(MRO) 단지 원격주기장 등 제2계류장관제탑 관제 권역 등에 ‘스마트 계류장 관제 플랫폼 구축 사업’을 추진한다. 공항공사는 이 사업에 11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며 2년여간 관련 플랫폼을 만든 후 1년간 시범사업을 운영할 예정이다. 공항공사는 또 스마트 관제 플랫폼 등을 모든 공항지역에 단계별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공항공사는 우선 스마트 계류장 관제 플랫폼을 종전 계류장 관제 업무 프로세스를 반영하는 동시에 시야 차폐 발생 등에 대한 대응 기능을 중점으로 개발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공항공사는 계류장 관제 권역 내 수집한 영상과 다양한 항공정보를 증강현실(AR), 첨단 정보통신기술(ICT), 디지털트윈 및 영상합성 기술을 적용하고, 통합 표출하는 기능도 추가한다. 특히 AI(영상·음성·모션인식) 기술을 활용한 계류장 관제업무 고도화와 관제사·조종사 음성인식 및 운영 자료를 활용한 상황 판단으로 관제 지시 메시지를 자동 생성하는 AI를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공항공사는 계류장관제탑 내 관제상황실에는 영상 합성 기술을 적용한 파노라마 뷰 구현기술 개발해 적용하고, 관제사 뷰와 동일한 시야를 표출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또 종전 관제사가 직접 조작하는 여러 표출 및 입력 장치를 신기술을 통해 자동화로 전환할 예정이다.
앞서 공항공사는 인천공항 T2 확장 등 관제구역이 늘고 있지만, 관제사 1인당 감시해야 할 구역에 한계가 있고, 항공기 충돌과 화재 등 비정상상황 알림 시스템 등도 부족한 탓에 이번 스마트 관제 플랫폼 구축을 추진했다.
공항공사는 원격으로 운영할 수 있는 스마트 관제 플랫폼 및 AI 자동관제 기반 상황실 구축·운영으로 공항운영의 안전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공항공사 관계자는 “스마트 관제 플랫폼을 구축을 통해 종전 계류장 지역 내 ‘시야 차폐 문제 극복’ 등 최첨단 기술의 공항 관제 운영이 가능할 전망”이라고 했다.
이승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