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대장동 의혹’ 계좌 압수수색…이한성 소환일정은 안갯속

성남시 대장동 개발사업의 국민임대아파트 가구 수가 애초 계획 당시보다 1천603가구에서 221가구로 86.2% 줄어든 것으로 4일 나타났다. 이에 따라 대장동 개발사업의 공영개발이라는 취지가 크게 퇴색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진은 5일 성남시 분당구 판교대장 도시개발사업구역 모습. 연합뉴스
성남시 대장동 개발사업의 국민임대아파트 가구 수가 애초 계획 당시보다 1천603가구에서 221가구로 86.2% 줄어든 것으로 4일 나타났다. 이에 따라 대장동 개발사업의 공영개발이라는 취지가 크게 퇴색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진은 5일 성남시 분당구 판교대장 도시개발사업구역 모습. 연합뉴스

경찰이 성남시 대장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과 관련해 계좌 압수수색에 착수했다.

다만 구체적인 대상 등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이한성 천화동인 1호 대표에 대한 소환조사가 이뤄질지 여부도 미지수다.

경기남부경찰청 전담수사팀은 화천대유 대주주인 김만배씨 등 8명에 대해 출국금지 조치한 데 이어 계좌 압수수색에 착수했다고 5일 밝혔다.

강제수사 대상이나 계좌 개수 등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았으나, 김만배씨와 곽상도 전 의원 아들 병채씨 등을 상대로 이뤄지는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현재 대장동 사건과 곽 전 의원 아들의 퇴직금 50억원 수수 관련 고발 사건, 또 금융정보분석원(FIU)으로부터 넘겨받은 화천대유 내 수상한 자금 흐름 등 총 3개의 사건을 수사하고 있다. 전담수사팀은 수사 자체는 아직 초기 단계이며 전반적인 사실관계를 확인하는 단계라고 설명했으며, 특히 금융정보분석원에서 받은 자료가 수천장에 이를 정도로 방대하다고 부연했다.

그러나 같은 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검찰은 대규모 압수수색을 벌인 데 이어 핵심인물로 꼽히는 유동규 전 경기관광공사 사장(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을 구속하는 등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경찰이 지난 4월 화천대유 내 김만배씨와 이성문 전 대표 간의 자금 흐름에 대한 자료를 받고도 수사 속도가 더디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려운 대목이다.

결국 큰 틀에서 같은 사안을 놓고 검ㆍ경이 동시 수사를 펼치고 있는데, 경찰은 ‘중복 수사’ 우려에 대해 별도의 구체적인 논의는 아직 없었다는 입장이다. 다만 향후 수사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검찰과 사건 수사에 대한 협의를 진행할 수 있고, 검찰 측의 요청에 따라 사건을 송치할 수도 있다는 여지를 남겼다.

이런 가운데 이르면 6일 이뤄질 것으로 알려졌던 이한성 천화동인 1호 대표에 대한 소환조사는 안갯속으로 빠져든 모양새다.

경찰은 이 대표를 불러 사업자금 사용처, 판교 타운하우스의 실소유주 등에 대해 확인할 예정이다. 경기남부청 전담수사팀은 이 대표에게 소환조사 일정을 통보했다면서도 변호사나 본인이 일정을 조율하는 절차가 있어 확정하긴 어렵다고 설명했다.

경찰 관계자는 “소환조사 일정에 다소 애매한 부분이 있어 조율 중인 상황”이라며 “사건들의 수사 진행상황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할 수 없다”고 말했다.

장희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