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통 경기도맨’ 오병권… 민선 7기 도정 철학·정책 잇는다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인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본격적인 대권 행보를 위해 퇴임하면서, 26일 0시부터 경기도는 오병권 행정1부지사의 ‘권한대행 체제’로 돌입한다.
이재명 지사가 임기를 남긴 채 중도 퇴임한다 하더라도 민선 7기 도정이 마무리 단계이고, 오 부지사가 과거 도의 기획조정실장 및 경제실장 등 주요 직책을 역임한 ‘정통 경기도맨’이기 때문에 도정 혼란은 찾아오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그럼에도 주도적으로 도정을 이끌어왔던 이 지사의 공백은 여러 과제를 남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우선 이 지사가 강력하게 밀어붙였던 도 산하 공공기관 이전 갈등 문제가 재점화될 가능성도 있다.
앞서 이 지사는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라는 목표 아래 2019년 12월부터 수부도시인 수원시를 비롯한 경기남부에 집중돼 있던 도 산하 공공기관을 경기동북부로 이전시키는 정책을 추진했다.
이와 관련 경기도공공기관노동조합총연맹은 이 지사가 각 공공기관과 소통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이전을 추진했다며 반발, 지난 5월 이 지사를 상대로 ‘공공기관 이전 계획 무효 소송’에 나서기도 했다. 이후 노조 측에서 해당 소송을 취하하면서 표면적으로는 갈등이 봉합됐으나 권한대행 체제로 전환되면서 언제든 관련 문제가 다시 불거질 수 있는 상황이다.
이밖에도 ‘기본 시리즈’ 등 민선 7기 도가 핵심적으로 추진했던 사업들의 내년도 예산안에 대한 경기도의회의 ‘막판 흔들기’가 나타날 수도 있다는 예상이 나온다. 오 부지사가 취임 한 달여밖에 되지 않아 주요 사업에 대한 이해도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다음 달 예정된 도의회 예산 심의 과정을 총괄해야 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도 내부가 아닌 정치권 등 외부에서 오는 리스크도 감당해야 할 숙제다. 이 지사가 도를 떠나더라도 대권 경쟁 세력들의 도정 관련 공격이 계속될 것으로 보여서다. 특히 국민의힘 등 야권의 대장동 및 낙하산 인사 등에 대한 의혹 제기와 자료 요구는 내년 대통령선거가 끝날 때까지 이어질 것이란 관측이 많다.
이와 관련 오병권 도 행정1부지사는 25일 오후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오랫동안 동고동락한 경기도에서 다시 일하게 돼 반갑다”며 “부족하지만 민선 7기 도정 철학과 정책 과제 등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권한대행 포부를 밝혔다.
한편 오 부지사의 권한대행 체제는 내년 6월 예정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새로운 경기도지사가 선출돼 취임하기 전까지 8개월여간 이어진다.
채태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