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달 22일부터 전국 유ㆍ초ㆍ중ㆍ고 전면 등교...교육부 일상회복 추진방안 발표

경기도를 포함한 전국의 유치원과 초ㆍ중ㆍ고교 학생들이 오는 11월22일부터 전면 등교한다. 대학교는 정부의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 추진 계획에 맞춰 다음 달 1일부터 단계적 대면 활동을 본격화한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9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교육분야 단계적 일상회복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단계적ㆍ점진적으로 학교의 일상회복을 추진하되, 학교 방역이 느슨해지는 것을 막고자 기본적인 방역 수칙을 최대한 유지한다. 이에 유치원부터 중학교까지는 학교 현장의 준비와 수능의 안전적인 시행을 고려해 다음 달 1일부터 21일까지 3주를 일상회복 준비기간으로 정했다.

수능 이후 첫 월요일인 22일에는 현재 3분의 2 수준으로 등교 중인 수도권 학교들의 전면 등교를 시작으로 단계적 일상회복 방안이 본격 시행된다. 기존 거리두기 1~4단계에 따른 학교 밀집도 구분은 폐지되고, 모든 지역에서 전면등교 가능으로 변경된다. 다만 유행 상황, 현장 수용성, 학교 특성과 준비 정도에 따라 학교마다 여건에 맞게 자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교과ㆍ비교과 영역에서 위축됐던 교육활동의 정상화도 추진된다. 유치원에서는 또래ㆍ바깥 놀이와 신체활동을 정상 운영하며, 초ㆍ중ㆍ고의 모둠ㆍ토의토론 수업과 소규모 체험활동 운영을 허용한다. 57일 내외로 확대한 가정학습 일수를 지역 상황에 따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겨울방학 기간에도 학습, 정서ㆍ사회성 회복을 위해 희망 학생을 대상으로 교육회복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와 함께 대학의 대면활동도 방역당국의 일상회복 추진 수준을 고려해 단계적ㆍ점진적으로 확대된다. 소규모 수업과 실험ㆍ실습ㆍ실기 수업은 대면을 원칙으로 운영하고 그 외 수업도 방역 관리 하에 가급적 대면으로 운영한다.

다만 학기 중간에 수업 방식을 변경해 자가격리 중이거나 지방에 거주하는 학생의 학습권 침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2학기 대면 수업도 가급적 실시간 원격수업과 병행하도록 권고할 예정이다.

내년 1학기부터는 대면수업을 원칙으로 한다. 대학이 교육목표에 적합한 수업방식을 선택하도록 하고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완화했던 출석ㆍ평가 등 학사제도를 정상화해 운영하도록 한다.

정민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