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경남 합천군에 한국인 원폭피해자 추모시설 조성 추진

정부가 경남 합천군에 한국인 원자폭탄 피해자 추모시설 조성을 추진한다. 사진은 원폭피해자복지회관 위령각에서 심진태 원폭피해자협회 합천지부장이 원폭 피해자의 위패에 인사하는 모습.경기일보 DB

정부가 경남 합천군에 한국인 원자폭탄 피해자 추모시설 조성을 추진한다.

보건복지부는 4일 서울시티타워에서 2021년 한국인원자폭탄피해자지원위원회를 열고 ‘추모시설 설립추진계획안’을 심의한 결과, 경남 합천군을 우선 고려 지역으로 정했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합천군에 가장 많은 원폭피해 생존자가 살고 있다는 점을 우선 고려지역 선정의 이유로 꼽았다.

복지부는 내년까지 후속 연구를 지원해 합천군을 중심으로 입지 확보 방안과 추모시설 구성 배치 등을 담은 추진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권덕철 복지부 장관은 “아픈 역사의 희생자들을 가슴에 새기고, 원자폭탄 피해의 상처와 고통이 조금이나마 치유될 수 있도록 추모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라며 “추모시설이 올바른 역사인식 정립과 인권 및 평화를 위한 역사교육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날 위원회는 ‘한국인 원폭피해자 실태분석 및 보건복지욕구조사’(연구기간 2019년 7월∼2020년 3월) 결과도 보고 안건으로 다뤘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이번 조사에서 건강보험 청구 자료, 국가 암등록 자료, 사망 등록 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 원폭 피해자뿐 아니라 이들의 자녀에게도 피폭과 관련성이 의심되는 건강 실태가 나타났다고 전했다.

피해자와 2세에게서 위암, 대장암 등의 발생률이 일반 인구집단보다 더 높았다는 것이다.

다만 보건사회연구원은 이번 연구의 한계로 생존자만 분석해 원폭 노출의 위험을 과소평가했을 가능성이 있고, 흡연·음주 등의 혼란요인을 통제하지 못했으며 표본이 한정돼 있다는 것 등을 꼽으면서 결과 해석에 신중해야 한다고 전했다.

경기ON팀=이호준·최현호·김승수·채태병·이광희·윤원규기자

※ ‘경기ON팀’은 어두운 곳을 밝혀(Turn on) 세상에 온기(溫氣)를 전합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