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변별력 지문 까다로웠다…작년보다 수학ㆍ영어 어려웠고, 국어 비슷

18일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진 도내 한 시험실에서 수험생들이 문제를 풀고 있다. 경기도교육청 제공

올해 처음으로 문ㆍ이과 통합 체제로 치러진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지난해 수능과 비교해 수학과 영어가 다소 어려웠고, 국어영역은 비슷하면서도 변별력 있는 지문들로 출제된 것으로 분석됐다. 코로나 수능이 2년 연속 이어지면서 6ㆍ9월 모의평가에서 코로나19에 따른 학력격차가 두드러지지 않았다는 분석이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1교시 국어영역은 지난해 치러진 수능과 비슷하거나 약간 쉽고, 지난 9월 모의평가보다는 어려웠던 것으로 평가됐다. 올해 국어영역은 공통과목과 선택과목(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중 1개 선택)으로 나눠 시행됐다. 이번 국어영역에선 학생들이 보통 어려워하는 과학 지문 대신 기술 영역 지문이 나왔고, 그 길이도 비교적 짧게 출제된 것으로 평가됐다. 선택과목인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도 크게 어렵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입시업체인 이투스와 대성학원은 작년 수능과 비슷하다고 평가했으며 종로학원과 진학사, 메가스터디교육은 지난해 수능보다 약간 쉬웠다고 봤다.

2교시 수학영역 공통과목은 6ㆍ9월 모의평가와 비슷하게, 선택과목은 대체로 더 어렵게 출제된 것으로 평가됐다. 수학영역은 공통과목과 선택과목(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중 1개 선택)으로 나뉘어 치러졌다.

공통과목과 선택과목 모두에서 신유형 문제가 다수 출제됐다. 공통과목에선 조건을 만족시키는 연속 함수 그래프 개형을 추론하는 12번 문항 등이 새롭게 등장했다.

3교시 영어영역은 지난해 수능보다 어려웠지만 6월 모의평가 수준으로 출제된 것으로 분석됐다. 새로운 유형은 없었지만, 올해부터 EBS 교재와의 연계 방식이 직접 연계에서 간접 연계로 바뀌어 체감 난이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고난도 문항으로는 32번과 34번 빈칸 넣기 문항, 36∼37번 순서 맞추기 문항, 38∼39번 빈칸 넣기 문제가 꼽혔다.

남윤곤 메가스터디교육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영어의 경우 작년 수능보다는 어려웠다”며 “특히 EBS 연계가 간접 연계가 되면서 수험생들이 지문을 모두 읽고 답을 고르는 것이 매우 어렵고 시간이 부족했을 것이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수능이 끝난 직후부터 오는 22일까지 문제ㆍ정답 이의신청을 받고 29일 정답을 확정해 발표한다. 수능 성적은 오는 12월10일 수험생에게 통보된다.

정민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