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잇단 한강하구 지뢰 사고, 안전조치 시급하다

경기북부에서 최근 지뢰 폭발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 6월 고양시 장항습지에서 환경정화 작업을 하던 50대 남성이 지뢰를 밟아 발목이 절단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고양습지는 국제적으로 생태계 가치를 인정받아 지난 5월 람사르습지에 등록됐으나 이 사고로 안전사고 위험이 제기되면서 생태관광 개발 계획이 중단됐다. 지난 21일에는 김포시 한강변 초소 주변에서 경계작전을 펼치던 육군이 지뢰 폭발로 역시 발목이 절단되는 중상을 입었다. 인근 지역 주민과 군인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추가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관리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높다.

민홍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방부로부터 입수한 ‘후방지역 지뢰 매설지 및 제거현황’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후방지역 33개 기초지방자치단체에 매설된 지뢰 5만855개 중 2천842개가 제거되지 않은 상태다. 경기도 지자체 중에는 김포시(190발), 파주시(181발), 고양시(136발), 가평군(114발) 등에 100발 이상 지뢰가 남아 있다. 경기도는 이들 지역 외에 연천군에도 상당수의 지뢰가 매설돼 있으며, 유실 지뢰를 포함하면 정확히 집계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최근 2년간 한강 하구에서 지뢰가 터지거나 발견된 사례는 5건이다. 장항습지에 이어 김포 초소 인근 폭발까지 모두 김포대교~일산대교 사이 구간에서 발생했다. 정확한 원인은 파악하지 못했지만, 유실된 지뢰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1984년 김포 장릉산에서 홍수에 쓸려 내려온 지뢰가 터져 대형 참사가 빚어진 적이 있다. 당시 유실된 지뢰가 포함된 토사가 말끔히 처리되지 못한 채 한강변에 버려져 이번 사고가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동안 이곳에서 지뢰 해체작업은 없었고, 폭발 사고는 계속됐다. 사고 예방을 위해 진상을 정확히 규명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데 별 다른 조치가 없었다.

이런 가운데 군과 김포시가 한강 하구 철책을 일부 철거하기로 했다. 일산대교~전류리포구 8.7㎞, 초지대교~인천시계 6.6㎞ 구간으로 지난달 10일 기념식까지 열었다. 그런데 철책이 제거되기 전에 또 지뢰가 폭발, 철거 이후 민간인 통제가 풀릴 경우 사고 재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철책 철거작업에 앞서 지뢰 해체를 비롯한 안전조치부터 해야 한다. 안보상 필요없는 지뢰, 유실된 지뢰 등이 주민 안전을 위협한다. 군과 지자체가 협력해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한 안전관리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