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근성이 떨어지는 소외지역을 직접 찾아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기도 무료이동진료’ 사업이 코로나19 여파로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서, 도내 의료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감염병 확산 우려로 인해 도의 무료이동진료 사업 추진이 제약을 받으며 지난해와 올해 각각 13곳, 6곳의 도내 시ㆍ군 주민이 해당 사업의 혜택을 일절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경기도에 따르면 올해 도는 무료이동진료 사업 추진을 통해 도내 25개 시ㆍ군의 164곳을 방문해 3천200여명의 주민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했다. 앞서 지난해의 경우 도내 18개 시ㆍ군의 78곳을 찾아 2천300여명의 도민에 대한 진료를 진행했다.
도의 무료이동진료 사업은 도내 소외지역 및 낙후지역 등을 의료진이 직접 찾아가 주민들에게 기초검사(혈압ㆍ혈당 등)와 빈혈검사, 충치 치료 등 의료 서비스를 무료로 지원하는 것이다. 의료 접근성이 낮은 지역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의료 사각지대 해소를 통해 도민 건강 증진을 도모하고자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초부터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코로나19가 확산, 소외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한 장소에 모여 있을 때 직접 방문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해당 사업이 많은 제약을 받게 됐다.
이에 따라 지난해에는 무려 13곳(용인ㆍ성남ㆍ안산ㆍ평택ㆍ김포ㆍ광명ㆍ광주ㆍ의왕ㆍ여주ㆍ과천ㆍ구리ㆍ동두천ㆍ가평)에서 방문 신청이 접수되지 않았으며, 올해도 6곳(김포ㆍ오산ㆍ여주ㆍ과천ㆍ동두천ㆍ가평)이 사업 혜택을 받지 못했다. 지난해와 올해 연이어 무료이동진료를 받지 못한 지역도 5곳(김포ㆍ여주ㆍ과천ㆍ동두천ㆍ가평)이었다.
특히 도의 무료이동진료는 지역에서 종합병원을 찾아보기도 어려운 곳에 거주하는 도민을 위한 맞춤형 지원 사업으로, 정상적으로 추진되지 못할 경우 도내 의료 사각지대 발생을 현실화시킬 수 있어 보완 대책 마련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감염병 여파로 지난해와 올해 사업이 위축된 면이 있지만, 내년도 관련 예산을 보전하는 등 사업의 정상 추진을 준비하고 있다”며 “코로나19가 안정 단계에 접어들면 그에 발맞춰 사업을 적극 전개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채태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