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예술인들은 창작을 위한 최저 생계비용 부족 등 ‘먹고사는’ 문제가 가장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문화재단은 17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경기도 예술인∙예술단체 전수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도내 예술인의 생활을 들여다보고 실질적인 정책수요를 파악하고자 재단이 지난해 8월부터 4개월간 4천196명의 예술인과 407개 예술단체예술의 목소리를 담은 것이다.
예술인들이 경기도에서 예술 활동을 하며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창작을 위한 최저 생계비용 부족’(30.6%)이었다. 이어 ‘예술 지원금 부족(21.4%)’, ‘예술분야의 안정적 일자리 부족’(18.5%)이 뒤를 이었다.
예술인 개인의 연평균 수입은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1천738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고용노동부에서 발표하는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의 같은 기간 연평균 임금총액(3천768만원)의 46.1% 수준에 그친 것으로 예술인의 수입이 매우 열악한 것을 방증한다.
건강보험 가입률은 88.1%로 가장 높았고, 국민연금 53.3%, 고용보험 27.7%로 나타났다. 특히 산재보험 가입률은 18.8%,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산재보험 가입률은 5.4%에 불과했다.
조사에 참여한 예술인들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은 ‘경기 이외 지역’이 23.8%로 가장 많았다. 현재 예술인들의 거주지역과 주 활동지역의 매칭률이 다른 것이다.
도내 예술인들은 타지역에서 예술활동을 하는 이유로 ‘예술소비 수요가 많기 때문’을 첫 번째(50.2%)로 꼽았다. 이어 ‘다른 예술인들과의 교류가 활발하기 때문’(39.4%), ‘예술활동과 관련한 지원이 잘 되어서’(34.7%) 등의 순으로 답했다.
도내 예술인들의 현재 예술활동 유형은 ‘필요 소득 일부를 예술활동을 통해 해결하는’ 겸업예술인(42.8%)이 가장 많았고, 전업예술인(32.2%), 생활예술인(25.0%)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애 예술인은 그렇지 않은 예술인보다 전반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생계를 꾸려나가고 있었다.
경기도 예술인 중 장애인 등록증을 보유한 예술인의 지난해 가구 전체 수입은 평균 3천7만원으로 집계됐다. 장애인 등록증 미보유 예술인의 연평균 가구 전체 수입(4천31)보다 1천24만원 낮았다.
장애인 등록증 보유 예술인의 항목별 개인 지출 분포를 보면, 생활비(60.2%) 비중이 가장 높았고, 그 외 예술창작활동비(19.1%)로 장애인 등록증 미보유 예술인보다 각각 1.1%p, 0.9%p 더 높았다. 예술활동에 필요한 금액 역시 30.3% 수준으로, 장애인 등록증 미보유 예술인보다 6.5%p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경기도 예술인∙예술단체 전수조사>에는 총 4천196명의 예술인과 407개의 예술단체가 참여했다. 경기문화재단 관계자는 “기초문화재단과의 협력을 통해 추가 확보가 예정된 200여건의 데이터를 합하면 총 5천여건에 이르는 조사 표본을 마련한 셈”이라며 “경기도 예술인의 활동여건과 활동실태, 복지수요 등을 파악해 경기도 예술복지 정책의 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겠다”라고 말했다.
정자연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