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우한에서 처음으로 발생된 코로나19가 국내에 전파된 지 벌써 2년이 넘었지만 오히려 오미크론 변이로 더욱 확산되고 있어 방역당국은 물론 국민들이 긴장 속에 생활하고 있다. 2020년 1월20일 국내에서 처음으로 환자가 발생된 이후 코로나19 확진자가 무려 72만 명이 넘고, 이중 사망자도 6500명이 되며, 매일 7000명대의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가 3년차로 접어들고, 2차 백신접종자가 85.3%에 달하며, 지난 14일부터 경구용 치료제인 ‘팍스로비드’가 도입, 처방되어 코로나19가 진정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오히려 델타보다 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의 등장으로 코로나19가 더욱 확산되고 있다.
이에 방역당국은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된 경기도내 평택·안성과 더불어 광주·전남 등 4곳에서 방역·의료 체계를 오는 26일부터 ‘오미크론 대응단계’로 전환하기로 했다. 이는 정부가 ‘일평균’ 확진자가 7000명대가 될 경우 오미크론 대응단계로 전환하겠다고 밝힌 방침에 따른 조치이다.
따라서 이들 지역에서는 선별진료소의 코로나 검사 체계가 ‘투 트랙’방식으로 진행된다. 즉 고위험군에 한해 선별진료소의 기존 유전자증폭(PCR) 검사가 가능하고, 고위험군 이외 검사 대상자들은 신속항원검사와 자가검사키트를 활용하게 된다. 또한 병·의원급이 포함된 호흡기전담클리닉에서 코로나19 진료를 시작한다. 전국적 대응단계 전환은 진행 상황에 따라 27일 이후 점진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정부의 조치는 검사 대응속도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며, 특히 고위험군 환자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진단·치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지난 10일 권덕철 보건복지부장관이 ‘3월에는 하루 확진자가 2만명, 위증증 환자 2천명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한 것과 같이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되면 하루 1만명 이상의 확진자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취한 조치이다.
정부의 이런 조치는 이해가 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준비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고 방역당국의 지침도 불분명하여 상당한 혼란이 예상되고 있다. 실제로 평택·안성 등 동네 병·의원에서 신속항원검사도 하고 코로나 확진자 치료도 맡게 된다고 했지만, 현장에선 준비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정부의 정책이 제대로 실행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정부의 확실한 지침과 준비에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방역당국은 영국 등 외국 사례를 면밀히 고찰, 위드 코로나 대책도 동시에 마련해야 된다. 세계 곳곳에서 연일 확진자 신기록이 발생하고 있지만 코로나19가 엔데믹(토착병)으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임을 참고, 이에 대한 준비도 해야 된다. 정부는 지난해 11월 위드 코로나를 실시했다가 실패한 정책이 되풀이 되지 않도록 정책의 사각지대를 점검하는 철저한 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