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사회 ‘재택치료 모델’ 비판…"원격진료 등 수단 악용"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폭증하면서 진료 체계가 재택치료모델로 전환된 가운데 경기도의사회가 이에 반발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재택치료모델이 실제 방역 원칙과 모순을 일으킨다는 게 첫 번째 이유다.

앞서 정부와 대한의사협회는 의원급에서 진단부터 치료까지 하는 ‘코로나19 진료의원 모델’을 설계, 지난 3일부터 이 체계가 적용 중이다.

이에 도의사회는 동네 병의원에서 고위험군 환자들을 직접 대면 진료하고 관리하는 상황과 오미크론 변이의 높은 전파력 등을 고려했을 때, 의료진과 일반 환자들을 감염의 위험에 노출 시킬 뿐만 아니라 이 감염원이 코로나 감염을 전파시키는 진앙지가 될 우려가 다분하다고 같은 날(3일) 즉각 비판했다. 또 이번 관리 모델은 대면진료의 대원칙을 무너뜨리고 그간 의료계가 반대해 온 주치의제, 원격진료의 강행 수단으로 악용되고 있다는 입장도 내세웠다.

도의사회는 발표한 성명에서 “코로나19 팬데믹, 최근 오미크론 변이 확산세에서 지난 2년 방역의 최일선에서 묵묵히 국민 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의료계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며 “그 과정에서 의료계가 해야 할 역할은 의학적 원칙에 근거해 국민 건강을 지키는 것이 되어야지, 일부의 이익에 눈이 멀어 원칙을 훼손해선 안 된다”고 밝혔다.

이어 “이미 감염관리의 한계를 넘어선 상황에서 정부가 유증상환자, 중증환자 치료 중심으로 합리적으로 코로나 대응체계를 전환하고, 모든 의료기관이 전문가적 식견에 맞는 모순 없는 진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명확한 대책을 마련하기를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이연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