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추진 중인 검단지역의 한남정맥을 축으로 한 북부권 생태축 복원 사업이 차질을 빚고 있다. 여러 차례 도시계획위원회 등을 통해 대부분 주민 의견을 반영하고 전문가들의 논의를 거쳤음에도, 여전히 일부 주민들과 서구가 시의 완충녹지 계획 변경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8일 시와 서구 등에 따르면 시는 2천910억원을 들여 서구 금곡·오류·왕길·백석동 등에 68만2천231㎡ 규모의 폭 80m 완충녹지를 만드는 생태축 복원 사업을 추진 중이다. 검단신도시 등 대규모 주거지역이 들어서고 있는 만큼, 주변 산업단지 및 공장 밀집 지역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 등의 공해를 막을 녹지 공간을 S자로 잇겠다는 계획이다.
앞서 시는 지난해부터 도시계획위원회에 이 같은 계획을 올려 심의를 받아왔으며, 2차례 분과위원회를 통해 나온 주민의견 15개 대부분을 반영한 조치계획안까지 재심의 받았다.
이를 두고 서구는 일부 주민의 민원을 받아 주민이용 접근성 부족 및 주민재산권 침해 등을 이유로 반대의견을 내고 있다. 서구는 녹지축 구간 중 1단계 사업구간을 주민접근성이 어렵다며 반월로 동측으로 옮겨줄 것과 사월마을 일대 완충녹지 계획에 대한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서구의 이 같은 요구는 시의 한남정맥축, 주변 구릉지, 산림녹지를 보전하고 연계하려는 계획과 어긋난다.
녹지축을 반월로 동측으로 이동하면 녹지폭이 20m에 불과해 녹지연계 효과와 생태축 복원효과가 떨어진다. 이 곳은 임야가 있어 보전 녹지지역과 연계해 규모있는 녹지축 조성이 가능한 여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시는 대안으로 주민 접근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미 진출입로 등을 위해 반월촌을 녹지축에서 제외한 상태다.
또 사월마을 일대 완충녹지 계획 재검토는 자칫 사월마을에 더 많은 피해를 입힐 수 있다. 이 녹지는 인근 순환골재적치장에서 발생하는 쇳가루 등으로부터 주거시설을 보호하기 때문이다. 시는 대안으로 녹지축을 계획대로 추진하면서 도시기본계획에 일대를 개발이 가능토록 열어두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장정구 시 환경특별시 추진단장은 “이미 도시계획위원회 과정에서 여러 차례 구와 소통했고 상당부분 의견을 반영한 상태”라고 했다. 이어 “환경도시를 표방하는 서구가 이곳의 개발사업과 난립한 공장에 대해 원칙을 가지고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구는 이날 박남춘 시장의 연두방문에서 이를 다시 건의한 상태다. 이후 시에 또다시 반대 의견을 제출할 예정이다. 구 관계자는 “완충녹지라는 것이 단절축이 아닌 이음축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접근성 강화가 필요하다고 본다”며 “녹지도 필요하지만 주민이 재산권 침해를 주장하기에 이에 대한 반영을 요구한 것”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주민 접근성을 위해 계획을 일부 변경했고 개발 등의 이슈가 있는 해당 지역 개발여지를 위해 수도권매립지 북측을 연결하는 녹지축을 신설하는 등 조치를 한 상태”라고 했다. 이어 “이미 2008년 용역 등을 통해 나온 생태축 복원 계획”이라며 “검단신도시와 공장 등의 난립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녹지축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민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