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발달지연 조기진단 길 열린다…도의회 아이발달지원센터 설립 근거 마련

왕성옥 경기도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경기도의회 제공
왕성옥 경기도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경기도의회 제공

부모가 인지하기 어려운 아동 발달지연 문제를 전문가 진단으로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공공시스템이 경기 남북부에 구축될 전망이다.

경기도의회가 아동 발달지연을 빠르게 파악해 치료하는 ‘경기도 아이발달지원센터’를 설치하는 근거 마련에 나섰기 때문이다.

23일 경기도의회에 따르면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왕성옥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은 경기도 아이발달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규정한 ‘경기도 아이발달지원센터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안’을 입법예고했다.

최근 국내에는 조산아, 저체중아 등 장애·고위험군·경계성 아동들의 출생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데 반해 양육자의 지식 부족, 가정의 경제난 등으로 치료의 골든타임을 놓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여주시 영유아발달지원단이 지난해 경기복지재단 지원을 받아 지역 4세 이하 영유아 398명을 대상으로 생활 연령 대비 발달 정도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사회성 발달’ 지연으로 판정된 영유아는 전체의 9.0%, ‘자조 발달(혼자 힘으로 할 수 있는 일상생활 정도)’ 지연 4.8%, ‘대근육 발달’ 지연 3.5%, ‘소근육 발달’ 지연 6.0%, ‘언어 발달’ 지연 9.5% 등으로 영역별로 3.5~9.5% 영유아가 발달지연을 보였다.

그러나 발달 지연으로 분류된 영유아 중 특수교육이나 재활치료를 받는 경우는 사회성 19.4%, 자조 31.6%, 대근육 35.7%, 소근육 12.5%, 언어 18.4% 등에 그쳤다. 영유아기 자녀의 발달상황을 부모가 정확히 인지할 수 없어 적극적인 치료가 이뤄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왕 의원은 경기도 아이발달지원센터 설치 조례안에 설치 근거와 함께 ▲장애진단 등 장애 조기발견을 위한 계획 수립 및 홍보 ▲장애아동의 복지지원사업에 관한 정보 및 자료 제공 ▲장애아동과 그 가족에 대한 복지지원 및 제공기관의 연계 ▲장애아동의 사례관리 등 아이발달지원센터가 수행할 업무내용을 명시했다.

왕 의원은 “부모가 아이의 발달지연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지 못해 적기에 치료 받지 못하는 상황을 해결하고자 조례안을 발의하게 됐다”며 “경기도와 협의 후 경기 남·북부 각 1곳씩 아이발달지원센터를 선제적으로 운영해 도내 아동 발달지연 문제에 대한 허브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광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