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급식종사자들이 코로나19 확진자 폭증 속 대체인력이 부족한 상황에 처해있는 것(경기일보 11일자 11면)으로 나타났지만, 교육 당국 책임자는 임기 말을 앞두고까지 ‘불통’으로 일관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23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은 오는 6월 임기 종료를 앞두고 이날 마지막으로 교육행정 정책질의 답변을 하기 위해 경기도의회에 출석했다. 이 같은 소식에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경기지부 측은 긴급 면담을 요청하며 도의회를 찾았음에도 만남은 성사되지 않았다. 앞서 지난 18일에도 노조 측은 도교육감과의 면담을 바란다는 내용의 공문을 도교육청 학교급식협력과에 보냈지만, 이 역시 이뤄지지 않았던 상황이었다.
최진선 학비노조 경기지부장은 “여러 차례 교육감과의 면담을 요청한 바 있고, 만나서 터놓고 이야기하자는 것인데 임기 마지막까지도 만남 자체를 거부하고 있으니 매우 안타깝다”며 “인력 부족으로 급식실 현장은 최악으로 치닫고 있는 만큼 교육 당국은 하루빨리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코로나19 사태 이전부터 조리사 1인당 담당하는 학생 수(식수 인원)가 약 150명에 달했던 학교 급식실 현장은 최근 확진자 폭증으로 결원이 다수 발생, 인력 부족 문제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현장에선 정해진 퇴근 시간을 넘겨가며 업무를 이어가고 있다. 각 지역 교육지원청에서도 대체 인력풀 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 다수의 학교에서 광범위하게 확진자가 발생하는 탓에 인력 충원은 온전히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24일엔 학비노조 경기지부를 포함한 3개 노조와 도교육청 간 대체인력 문제를 논의하는 실무 협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노조 측은 해당 논의에서도 진전이 없을 시 준법투쟁에 나선다는 입장이다. 준법투쟁은 법규를 지키며 진행되는 투쟁으로, 학비노조는 급식실 업무가 남아있더라도 제시간에 퇴근을 강행하겠다는 방침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급식실 현장에서 부족한 인력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는 사실은 충분히 공감하고 있고, 실무 협의를 통해 입장 차를 좁혀나갈 것”이라며 “빠른 시일 내에 교육감 면담도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