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에 소각시설 만들자"…이재현 서구청장 "말도 안 된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가 인천시의 광역 소각시설과 영흥도 소각재 매립시설을 수도권매립지 안에 유치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30일 밝혔다. 그러나 서구 지역 주민들은 이 같은 방안이 매립지 사용 연장과 같은 결과를 가져온다며 반대하고 있어 추진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30일 SL공사에 따르면 인천시는 2026년 생활폐기물 매립 금지에 대비해 각 권역별로 소각장을 신설하거나 기존 소각시설을 보수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와 함께 2025년 수도권 매립지 사용 종료를 위해 옹진군 영흥도에 페기물 소각재만 묻는 친환경 ‘인천에코랜드’ 조성을 위한 절차도 밟고 있다.

SL공사는 소각장의 신설 및 보수가 주민의 반대로, 영흥도 소각재 매립지는 주민협의체 구성 지연 등으로 제때 가동하기 어렵다고 예측했다. 또 영흥도 매립지의 경우 1천200억원의 건설비 외에 2천400억원이 들어가는 쓰레기 수송교량 설치, 영흥도 종합개발계획 등의 주민들의 요구가 많은 것도 지연의 원인으로 꼽았다.

그러면서 수도권매립지에는 소각재 매립지가 이미 있어 3천600억원의 예산을 절약할 수 있고, 30년간 쓰레기 처리의 전문성이 있는 주민 대표들이 있어 관련 협의도 상대적으로 용이해 최선의 대안일 수 있다고 했다.

SL공사는 4월 중 운영위원회의 안건으로 이 같은 내용을 상정하고, 환경부와 인천시·서울시·경기도 4자 협의체의 협의를 거쳐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서구 지역에서는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매립지로 인해 고통받아온 주민들에게 다시 또 같은 고통을 겪으라고 하는 것과 같은 이치라는 지적이다.

이재현 서구청장은 “수도권매립지는 더이상 환경에 피해를 주는 시설이 들어서서는 안 된다”며 “주민들과의 협의도 없이 이런 것을 하자고 하는 것은 말도 안되는 얘기”라고 했다. 이어 “재활용률을 80%까지 끌어올리고 있고, 소각시설도 자체적으로 준비를 하고 있는 상황에서 주민들도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