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김은혜 돌풍’이 일자 뒤를 따르는 궁금증‘/대장동 환수 8천억원은 누구에 줄 것인가’

김은혜 의원이 출마 선언을 한 것은 6일이다. 그보다 전인 1~2일 실시한 여론조사가 있다. 조원씨앤아이의 조사였는데 거기서 김 의원은 당내에서도 1위와 차이가 큰 2위였다. 그 뒤 출마 선언을 했고, 그 하루 뒤인 7일 조사된 결과가 있다. 여론조사공정㈜이 실시했는데 김 의원이 당내, 전체 모두 1위에 올랐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 있다. 경기도지사 선거에 이는 ‘김은혜 바람’이다. 윤석열 당선인의 입-대변인-이었다. 김 의원 본인 빼고는 모두가 ‘윤심(尹心’을 말한다. 향후 당원 여론 변화 등도 주목된다.

자연스레 따라 붙는 것이 대장동이다. 우리는 이미 김 의원 출마와 대장동을 연계했었다. 대선 과정에서 ‘대장동 저격수’였고, 지역구인 분당구 갑이 대장동 소재지다. 김 의원의 출마는 곧 경기도지사 선거판에 대장동 등장이었다. 시작부터 예상대로 갔다. 첫 행보로 찾은 곳이 대장동 건설현장이었다. 흙먼지 풀풀 나는 현장에 서서 출사표를 던졌다. “누군가는 3억5천만원을 투자해 8천여억원이 넘는 수익을 올리며 환호성을 지르고 있을 때, 대장동 원주민은 반값에 토지수용을 당한 채, 삶의 터전을 잃고 전월세로 옮겨 다녔다”고 했다. 도지사 취임하면 감사로 다 밝히겠다고도 약속했다.

대선(大選)에서의 대장동은 시종 정치였다. 이재명 게이트를 주장하는 한 쪽과 윤석열 게이트를 주장하는 다른 쪽의 무한 폭로전이었다. 남은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여전히 대장동은 무엇이 특혜였는지 딱 떨어지지 않는다. 이미 구속된 개발 주체 4인의 혐의조차 논란이 많다. 이랬던 대장동이 지방선거로 왔다. 차라리 잘됐다. 전혀 다른 환경에서 차분히 따져 볼 기회가 될 수 있다. 성남시와 경기도에 남아 있는 행정 흔적이 있다. 실체적 진실을 파고 들어갈수 있을 것이다. ‘취임하면 전면 감사에 착수하겠다’는 김 의원에 약속에 많은 이들이 주목하는 것도 이런 때문이다. 그걸 밝힐 수 있는 자리라서다.

여기서 중요한 대목이 있다. 대장동 실체 파악의 실익이 누구에 있느냐다. 불필요한 오해를 남겨서는 안 되는 대목이다. 김 의원은 그간 원주민 이익을 유독 대변해왔다. 지난해 10월5일 국회에서 대장동 지적확정 지연으로 재정착에 어려움을 겪는 원주민을 대변했다. 같은달 20일에도 “그대로 살고 싶었는데 헐값에 수용을 당하고 떠나야 했다”며 보상 문제를 지적했다. 이것 말고도 많다. 당시는 대장동 국회의원이었다. 옳았다. 그러나 이제는 경기도지사 후보다. 경기도민 또는 성남시민 전체 이익을 말해야 한다. 달라져야 할 수 있다. 더구나 약속에는 (8천억원)환수라는 금전적 문제도 있지 않나. 적지 않은 도민은 벌써부터 궁금해 한다. ‘8천억원을 환수하면 누구에 주겠다는 것이냐. 원주민이냐, 성남시민이냐, 경기도민이냐.’ 행정을 알면 아주 우매한 질문이다. 하지만 경기지사 선거판에서는 아주 중요한 질문일 수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