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꾸는 경기교육] 음식 촬영과 리뷰의 중요성

image

이제는 바깥에 나가 외식을 하기 전에 스마트폰으로 검색해 가게에 대한 리뷰가 담긴 블로그를 읽어보거나 관련한 미디어를 시청해보는 것이 아무렇지 않은 일이 됐다. 배달 앱으로 주문하기 전에 그곳에 등록돼 있는 사진들로 음식을 확인하고, 리뷰와 별점을 통해 배달 여부를 결정한다. 이렇게 미디어의 발달과 배달의 증가로 세상은 언택트에 맞춘 새로운 외식문화, 배달문화를 창출해내고 있다. 이러한 발달로 인해 푸드스타일리스트와 식품 사진 촬영사가 요즘 떠오르고 있다.

‘음식을 생각했을 때’, ‘우리 음식을 먹을 때’ 고려하는 기준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저는 외관·맛·양·가격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언택트에 맞춘 고려 기준은 조금 다르다.

실제로 음식을 확인하기 전에 사진과 리뷰, 가게 별점만으로 음식을 결정해야 하는 지금은 외관이 더욱 고려되고, 새롭게 리뷰라는 기준을 추가해서 생각해야 한다. 이에 따라 배달 앱을 사용하는 많은 가게는 전문 사진사를 고용하거나 배달 앱 자체에서 부가적으로 지원하는 포토그래퍼를 요청해 보다 보기 좋게 사진을 찍어내곤 한다. 드라마나 영화에 나왔던 푸드스타일리스트가 스타일링한 음식들이 맛있어 보여, 다들 관람한 뒤 주문하거나 검색해보는 것처럼, 이제는 식품 사진 촬영이라는 하나의 분야가 발전됐다.

또 리뷰가 중요한 기준으로 자리 잡은 만큼 가게 사장들은 이를 위한 마케팅을 진행한다. 바로 ‘리뷰 서비스’라는 추가 서비스를 진행하는 것이다. 저도 직접 경험해본 적이 잦은 마케팅인데, 가게 소개 밑에 별점 5점과 함께 리뷰를 적어줄 것을 약속하는 멘트를 배달 요청사항을 적을 시 선택사항 중 원하는 서비스메뉴를 무료로 증정하는 것이다. 이는 가게 사장에게서도 확실한 좋은 리뷰를 얻을 수 있고, 배달을 받는 손님도 리뷰를 좋게 적는 것만으로도 돈을 내지 않고도 맛있는 서브 메뉴들을 즐길 수 있어 좋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시스템에도 허점이 존재한다. 아이디만 적고 구두 약속을 하는 것이다 보니 음식만 공짜로 받고 리뷰를 적지 않는 손님들이 존재할 수 있고, 좋은 리뷰가 가득한 가게가 사실은 리뷰 서비스를 위해 적힌 리뷰들로만 가득한 가게일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아주 작은 문제점이라고 치부할 수 있겠지만, 뉴스에선 적지 않게 리뷰로 인해 갑질을 했던 손님의 사례 등 다양한 피해 사례들이 속출하고 있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선 배달 앱의 새로운 제도 도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리뷰를 약속하고 리뷰를 적지 않은 손님의 경우 그 가게에 블랙리스트로만 남기는 것이 아닌 이후 배달 앱에서의 주문을 2주 동안 불가능하도록 조치하는 것이다. 혹은 가게에서 억울한 리뷰를 받게 될 경우 리뷰 별도 표시를 통해 손님들이 리뷰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박채희 시흥 한국조리과학고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