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의료격차 해소 및 필수·공공의료 책임성 강화를 위해 ‘책임의료기관’을 8개소 추가 지정했다. 이에 따라 경기도 내 책임의료기관은 총 8곳에서 10곳으로 늘었다.
25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정부와 지자체는 2020년부터 17개 시·도 권역, 70개 중진료권(지역)을 대상으로 ‘권역·지역 책임의료기관’ 지정·운영하고 있다.
권역·지역 책임의료기관은 ▲응급·외상·심뇌혈관·암 등 중증의료 ▲산모·신생아·어린이 의료 ▲감염 및 환자 안전 ▲만성질환·정신·장애인 등 지역사회 건강관리 ▲재활 등 지역 필수의료 협력 체계를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책임의료기관에 지정되면 공공의료본부 설치 및 원내·외 협의체 구성 등이 가능해진다.
우리나라 권역 책임의료기관은 2020년 12곳에서 2021년 15곳으로 늘었으며, 지역 책임의료기관도 같은 기간 29곳에서 35곳으로 증가한 바 있다.
여기에 더해 정부는 지난 22일 전국 권역·지역 책임의료기관 총 8개소를 추가 지정하기로 했다.
이번에 새로 지정된 권역 책임의료기관은 세종충남대학교병원(세종권역)이다. 또 지역 책임의료기관은 서울특별시서남병원(서울서남권), 인천적십자병원(인천남부권), 근로복지공단안산병원(안산권), 국민건강보험일산병원(고양권), 순천의료원(순천권), 통영적십자병원(통영권), 거창적십자병원(거창권) 등 7곳이다.
이에 따라 경기도에선 권역 책임의료기관 1곳(분당서울대병원) 외에도 수원·성남·의정부의료원 등 총 9곳의 지역 책임의료기관이 지정된 상태다. 이들은 권역 기관의 경우 1곳당 6억6천만원, 지역 기관의 경우 1곳당 4억8천만원의 사업비(국비 50%·지방비 50%)를 받는다.
정부는 올해까지는 국립대병원, 지방의료원, 적십자병원 등 공공의료기관을 공모·평가해 책임의료기관을 지정하되, 내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역량 있는 민간병원 등을 대상으로 사업 계획·수행 역량 등을 평가해 기관을 추가 지정한다는 계획이다.
박향 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지역 완결적 필수·공공의료 협력 체계 구축을 위해 책임의료기관을 지속적으로 육성·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