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만공사 내항 1·8부두 항만 사업 ‘삐그덕’

인천항만공사(IPA)의 내항 1·8부두 항만재개발 사업이 국비 확보를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려면 정책성 확보 전략부터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8일 IPA 등에 따르면 내항 재개발 사업의 사업시행자인 IPA는 최근 사업계획 수립 및 실시계획 승인 신청 등의 절차를 밟고 있다. 또 IPA는 지난 2월께 기획재정부에 예타 선정 대상 신청을 했고, 다음달께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IPA는 내항 재개발 사업의 전체부지 42만9천㎡ 중 21만8천㎡를 공공용지로, 18만5천㎡를 매각용지로, 2만4천965㎡를 공유수면 등으로 구상하고 있다. 당초 계획한 50.2%의 공공용지 비중을 54.1%까지 늘린 것이다. 이 같은 공공용지에 대해 IPA는 공원과 녹지 등을 조성할 계획이다.

그러나 전체 사업부지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공공용지에 공원과 녹지를 조성하는 것만으로는 예타 심사 과정에서 일자리(직·간접) 고용효과, 사업추진 여건 등을 반영한 정책성을 확보하기는 힘들다. 이에 따라 내항 재개발 사업이 예타 대상 선정을 받더라도 이후 통과를 위한 정책성을 반드시 높여야 한다.

전문가들은 IPA가 정부와 인천시, 중구, 해양·관광 관련 기관 등을 공공용지 내 앵커시설로 유치해야 일자리 고용효과, 정주 여건, 원도심 활성화 등의 정책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함께 공유수면과 항만시설 자원을 활용한 새로운 콘텐츠의 지속적인 발굴도 시급하다.

김경배 인하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는 “종전 내항 재개발 마스터 플랜에서도 앵커시설 구축은 정책·사업성을 높이는 데 가장 중점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고 했다. 이어 “앞으로 시나 지자체에서도 이 부분에 대한 적극적 협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IPA 관계자는 “공공용지 등에 앵커시설이 들어서는 것이 중요한 만큼 앞으로 시 등과도 적극적으로 협의해 나갈 예정”이라고 했다. 이어 “또 공유수면 및 공공용지 등에 유휴 항만 장비(크레인)을 활용한 디너인더 스카이 프로젝트 및 플로팅 풀(야외 수영장) 등 해양관광 콘텐츠 등을 유치하는 전략도 구상하고 있다”고 했다.

한편, IPA는 매각용지를 대상으로 한 주상복합, 호텔·리조트, 레지던스 등의 사업계획을 통해 예타 통과에 필수적인 비용대비편익(B/C)값 ‘1’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B/C값이 1 이상이면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본다.

이승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