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지역경제 활성화 및 금융소외계층 지원 강화를 위한 공공은행의 역할로 인천e음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더욱이 6·1 지방선거에 출마한 박남춘 인천시장과 유정복 전 시장도 공공은행 공약을 내놓아 실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2일 시와 금융계 등에 따르면 시중은행은 고신용자 저금리 대출에 주력하고, 제2금융권은 저신용자 고금리 대출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중신용자들은 적절한 수준의 금리로 자금을 대출 받기 어려운 신용대출 공백을 지방은행을 통해 해소해야 한다.
특히 지역의 자금이 지방은행에 모인 뒤 타지역(역외)으로 유출하지 않고 지역에 재투자가 이뤄지면 지역경제가 활성화하는 선순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인천의 지방은행이 생기면 시민의 금융서비스 접근성이 좋아진다. 현재 인천의 은행 점포 수는 289곳으로 시민 1만190명당 1곳에 불과하다. 반면 부산은 6천357명당 1곳, 대구는 6천970명당 1곳으로 인천보다 은행 점포 수가 많다.
이에 따라 지역 안팎에서는 시민 10명당 8명이 이용 중인 인천e음과 연계한 지방은행을 설립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박 시장은 최근 “지역 공공성 확보를 위한 금융플랫폼인 ‘인천e음뱅크’를 설립하겠다”라는 공약을 내놨다. 금융소외계층, 소상공인 등이 더 낮은 비용으로 금융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학자금 대출이나 신혼부부 주택자금 저리 대출 등을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또 유 전 시장도 “소상공인 등을 위한 지역 공공은행 역할을 할 ‘인터넷 인천시티은행’을 설립하겠다”라고 공약했다. 이는 중소기업 근로자 등을 위한 공제조합을 설립해 만든 기금을 운영하며 인천e음 카드까지 더한 서민 금융 지원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지역 내 시민단체들도 최근 공공은행 설립을 위한 토론회를 열고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민·관 태스크포스(TF) 구성 등을 대안으로 제시하는 등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다만, 시가 주도한 공공은행 설립은 현행법상의 지자체 출자 제한으로 쉽지 않다. 대안으로는 금융 및 인터넷 전문 기업과 금융기관이 핵심 사업자로 참여하고 기업·시민 등이 공동출자해 3천억원 수준의 공공은행을 만드는 방안이 꼽힌다.
시 관계자는 “인천에도 공공 및 지방은행이 필요한 만큼, 인천e음의 기능 확대 등은 동의한다”며 “구체적인 추진 방향 등에 대해서는 내부 검토를 하고 있다”고 했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