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동물의료 관련 전담부서의 부재로 동물병원이나 동물용의약품 관리·감독 업무에서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전국 동물의료 분야 업체의 4분의 1 이상이 경기도에 집중되면서 관련 행정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만큼, 도는 동물의료 전담팀을 구성해 문제 해결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4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 동물병원, 동물약국, 동물용의약품도매상이 1만4천29개소로 파악된 가운데, 전국에서 가장 많은 3천917개소가 경기도에 분포해있다. 임상 수의사 역시 전국 7천667명 중 최다인 2천40명이 도에서 활동 중이다. 전국 동물의료분야 관련 업체와 인력의 27%가 경기도에 쏠린 셈이다.
이처럼 동물의료 분야가 경기지역으로 집중되면서 도는 업무 가중화를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동물의료 분야 관리 외에도 겨울철이면 AI와 돼지 열병에 대한 방역과 그에 따른 피해농가 복구 업무까지 도맡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올해부터는 수의사법이 개정·공포됨에 따라 동물병원 진료비 게시·공시제, 진료비 표준화 등 새로운 업무가 생기면서 이들의 업무부담은 더욱 불어날 전망이다.
이 밖에도 동물병원 관리는 시·군에만 역할이 집중된 탓에 도 차원에서의 대응이 늦을 수밖에 없고, 동물용의약품 관리·감독의 경우 재정 여건상 전문인력인 동물약사 감시원 채용에 한계가 있어 체계적인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도는 ‘동물의료팀’ 구성을 통해 업무부담을 해소한다는 복안으로, 지난 1월 동물의료팀 조직 구성안을 건의한 상태다. 동물의료팀은 동물약사 감시원으로 구성, 방역 등의 업무를 제외한 동물의약품 관리·감독을 중점적으로 담당하게 된다.
도 관계자는 “그동안 직원 한 명, 한 명이 포괄적인 업무를 일임하다 보니 늘어나는 업무 부담과 집중적인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며 “이번 전담팀 구성으로 대규모 광역자치단체에 걸맞은 동물의료 행정을 펼칠 것이라고 예상한다”고 말했다.
김현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