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들의 연구활동 학습공동체-道교육연구회] 44. 경기중등수업비평교육연구회

경기중등수업비평교육연구회의 회원들이 연구회 월례회에서 백워드 및 질문을 적용한 ‘수업 재구성 실습’ 내용을 공유하고 있다. 경기중등수업비평교육연구회 제공

경기중등수업비평교육연구회는 지난 2009년 자신의 수업을 개선해 보고 싶은 열정과 학생들에게 진정한 배움을 주고 싶다는 애정을 가진 교사들이 모여 창립한 연구회이다. 연구회 창립 이후 지난해까지 여덟 차례 경기도교육청의 우수 교육연구회에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또 수업으로 배움의 깊이를 더해 학생들과 함께 성장하는 교사가 되기 위한 발걸음을 멈추지 않고 있다.

■ 경기중등수업비평교육연구회가 걸어가는 길

코로나19 사태는 교육적 패러다임의 전환이라는 과제를 교육 환경에 던져줬다. 우리는 미래 교육이 이미 현실이 되었음을 느낀 후 온라인 수업을 준비하며 많은 기술과 첨단 도구들, 소프트웨어들을 접하게 됐다. 나아가 단순히 기술과 도구를 사용하는 수업이 아닌 학생과 소통하고 그들이 주도적으로 배울 수 있는 수업의 필요성에 공감해 2021학년도에는 ‘학생이 주도하는 블렌디드 러닝 수업하기’라는 주제로 온·오프라인 수업의 접목 방안을 연구하며 학생들이 주도하는 온택트 수업 방안을 탐구하고 실천했다.

2022학년도에는 ‘교사 교육 과정으로 학생 주도 에듀테크 수업 실천하기’를 주제로 학습자와 교사가 변화하는 디지털 시대에 대응할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교과별 교사 교육 과정’을 개발해 ‘학생 주도 에듀테크 수업’을 현장에서 실천하고자 한다.

우리는 연구 주제들을 일반화하기 위해 공모 연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독서 토론, 수업 공개 및 사례 나눔, 수업 비평문 작성 및 고찰, 학교 밖 전문적 학습 공동체 등을 운영하며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한 역량을 신장하고 있다.

또 화성오산, 광명, 파주 등의 지회를 운영하며 지역 내 선생님들과도 수업 개선에 대한 고민과 열정을 공유하고 있다. 우리의 이러한 실천적 성찰은 ‘수업에 아름다움을 새기다’라는 수업비평연구회의 자료집으로 현재 11권까지 발행됐으며, 앞으로도 계속 발간할 예정이다.

image
원민희 간사

■ 경기중등수업비평교육연구회가 나아갈 길

본 연구회는 ‘수업’이란 교사와 학생, 수업의 제반 환경 모두가 잘 어우러져 하나의 의미 있는 작품을 완성해 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이러한 가치를 염두해 두고 함께 연구하고 실천하고 성찰하기를 멈추지 않을 것이다. 교육 현장에서 수업을 고민하는 교사들의 배움의 터전으로 본 연구회가 계속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다.

원민희 간사(안양 호성중 교사)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