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 불발’ 스마트오토 밸리 조성사업, 자재비 등 사업비 급증에 재공모 ‘난항’

인천항만공사(IPA)가 추진하는 인천항 중고차 수출단지 ‘스마트 오토밸리’ 조성사업의 장기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최근 우선협상대상자와의 계약 불발에 이어 재재값 등 사업비 급증으로 재공모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24일 IPA에 따르면 이달 초 중고차 수출단지인 스마트 오토밸리 조성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인 ‘한국중고차수출서비스 컨소시엄’에 협상 종결을 통보했다. 컨소시엄에 참여한 4곳 중 1곳이 사업성 악화 등을 이유로 사업추진 계약에 최종 서명하지 않은 탓이다. 이에 따라 IPA는 스마트 오토밸리 사업의 사업자를 새로 찾기 위한 재공모를 추진할 방침이다.

하지만 IPA는 스마트 오토밸리 조성사업에 대한 계획 변경에 애를 먹으면서 재공모 일정도 구상하지 못하고 있다.

IPA는 최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사태와 중국 정부의 코로나19 지역 봉쇄조치 등으로 비철금속(알루미늄)과 철근 등의 자재값이 급증한데다, 조달금리(은행 기준 금리)까지 오른 탓에 추정 사업비가 치솟는 것으로 보고 있다. IPA는 당초 5천억원 규모이던 스마트 오토밸리의 사업비가 배 가까이 늘어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특히 IPA는 후속 사업자를 선정해도 사업비 급등 탓에 중고차 임대료 상승으로 이어질 것도 우려하고 있다. 현재 옛 송도유원지(동춘동)에 있는 중고차 수출업체들을 스마트 오토밸리로 이전시켜야 하는데, 만약 임대료가 오르면 이전이 어려워진다.

IPA 관계자는 “자재값 급등 등으로 사업비 상승은 불가피한 것으로 보고 있다”며 “내부적으로 후속 사업자는 재공모로 선정하는 것으로 의견이 모아졌지만, 아직 일정 등은 검토 중”이라고 했다. 이어 “사업 추진에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여러 방면으로 해결 방안을 찾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IPA는 인천시 중구 남항 역무선부두 인근 39만8천155㎡ 규모의 항만 배후부지에 친환경·최첨단 중고차 수출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스마트 오토밸리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승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