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 해제 조치 ‘무용지물’?…화장품 생산 업계 ‘악재’ 직면

이달 초 야외 마스크 해제 조치로 시장 회복을 예상했던 경기도내 중소규모 화장품 생산 업계가 생산 단가 폭등, 중국 봉쇄 조치 등 대내외 악재로 활로 모색에 난항을 겪고 있다.

25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경기실사지수(Business Survey Index·BSI) 조사’에 따르면, 화장품 생산업체가 포함된 ‘석유정제 및 화학’ 업종의 BSI는 91.3(원지수 기준)이다. 이 같은 결과는 방역 완화 특수를 맞은 ‘섬유·의복 및 가죽·신발’(120.0)과 ‘여가·숙박 및 외식’(112.5)에 비해 확연히 낮은 수치였다.

업계는 중국 봉쇄 조치 정상화까지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 속에서 대기업이 수출 등에 타격을 입어 휘청거리자 중소기업들도 연쇄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다는 진단을 내놨다.

의왕시의 한 화장품류 제조업체는 최근 주문량이 소폭 늘어나면서 지난달부터 제조설비를 재가동했지만, 생산비용이 급등해 전망이 밝지만은 않은 상황이다. kg당 7천원대까지 치솟은 글리세린류를 품목마다 최소 200kg 이상 구매할 수 밖에 없어 부담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원료값은 지난해부터 상승세였으며, 최근 들어 1~2주마다 가격이 올랐다.

부자재값의 압박도 영업난을 가중하고 있다. 오산시의 한 화장품 연구개발 업체는 최근 ‘ESG’ 트렌드에 맞게 포장 용기 재질을 친환경 소재로 바꿔 달라는 발주자의 요구가 있지만, 원료값도 부담되는 상황에서 무작정 단가를 늘릴 수 없어 난감했던 적이 많다고 밝혔다.

부천시의 한 색조 화장품 기업은 2년 전 대비 매출이 30% 감소한 데다가 최근 원료·부자재값과 인건비 등이 크게 상승해 압박을 받고 있다. 업체 관계자 A씨는 “힘들다고 생산을 줄일 수도 없는 노릇”이라며 “하청 구조에 묶여 있으니 일정 수익률을 넘길 수 없는 한계가 있다”고 호소했다.

화성시의 한 기초 화장품류 제조공장 종사자 B씨는 “납품 단가도 제대로 조정할 수 없는 소규모 업체에겐 이익 구조를 바꾸는 일이 그림의 떡”이라며 “국내 업체끼리 경쟁하는 상황만으로도 숨막혀 다른 건 꿈도 못 꾼다”고 토로했다.

이와 관련, 이세훈 경기화장품협의회 회장은 “도내의 수많은 생산 업체들이 피 튀기는 경쟁 및 대내외 악재 속에서 탈출구를 전혀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면서 “중국 봉쇄 조치가 풀리는 것만으로 현 상황을 타개할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는 없는만큼, 업체들이 전략적인 해외 시장 개척을 실행할 수 있게 정부에서 화장품 산업 전반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수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