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교육 적임자를 찾아라] 임 “혁신학교 재검토” vs 성 “교실붕괴 방지 성과”

임태희·성기선 도교육감 후보 첫 토론회서 날선 공방
고교평준화도 “학생 능력 끌어올려야” vs “확대해야”

image
임태희(왼쪽)•성기선 경기도교육감 후보가 25일 오전 고양특례시 일산 MBC 스튜디오에서 열린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기도교육감 후보자 토론회’ 시작 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경기사진공동취재단

6·1 지방선거 경기도교육감 선거에서 일대일 대결을 펼치고 있는 임태희·성기선 후보가 첫 TV 토론회에서 경기교육을 상징하는 ‘혁신학교’를 두고 설전을 벌였다. 두 후보는 고교평준화 정책, 교권 위기 해소방안, 민주시민교육, 평화통일교육, 노동인권교육에 대해 각자 엇갈린 주장을 내놓으며 정면 충돌했다.

25일 경기도선거방송토론위원회가 주관한 토론회에서 두 후보는 토론 첫 주제인 ‘혁신학교’를 놓고 대립했다. 임 후보는 “혁신학교를 두고 학생은 일반학교와 뭐가 다른지 모르겠다고 하고 부모는 혁신학교로 지정될까 봐 걱정하면서 반대하고 있다”며 “혁신학교의 취지가 아닌 일방적으로 밀어붙인 것이 문제로 원점에서부터 혁신학교를 재검토하겠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부분에 대한 재검토가 이뤄지지 않으면 경기교육의 변화가 어렵다”고 부연했다.

성 후보는 “2000년대 초반에 학생이 소외되는 교실 붕괴 현상을 목도하고 이를 바꿔서 학생이 중심인 학교다운 학교를 만들기 위해 혁신교육이 시작돼 현재 도내 2천500개 정도의 초·중등학교 중 1천400여개가 혁신학교로 지정될 만큼 보편화됐다”고 맞받아쳤다.

혁신학교는 민주적 학교운영 체제를 기반으로 윤리적 생활공동체와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형성하고 창의적 교육과정을 운영해 학생들이 삶의 역량을 기르도록 하는 자율학교로 지난 2000년 남한산초, 조현초, 덕양중 등 작은 학교에서 태동한 경기교육의 대표 정책이다.

두 후보는 고교평준화 정책에서도 상반된 입장을 보이며 대립했다. 임 후보는 수원을 비롯한 도내 12개 시에서 시행 중인 고교평준화 정책에 대한 입장을 묻는 사회자 질문에 “지금 학생들의 성향은 과거 대량교육 시대하고는 완전히 다르고 교육 여건도 맞춤형 교육이 가능해서 학생들이 자신의 끼를 맘껏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서열화라고 규정하는 비판이 있는데 손흥민과 BTS를 보면 어느 한쪽으로 능력이 뛰어나다”며 “국영수 시험 치는 것만 떠올리며 서열화라고 규정하는 것은 과거식 잣대”라고 비판했다.

이에 성 후보는 고교평준화를 확대해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성 후보는 “고교평준화는 1974년 박정희 대통령 시절에 시작한 제도로 당시 진학 열정이 과열되니까 학생을 선발하지 않고 거주지에서 가까운 곳의 학교로 배정하기 위해 도입됐다”며 “이는 우수한 교육을 보편적으로 시행하자는 교육 기회 평등에 부합하는 정책”이라고 임 후보 주장에 응수했다.

이외에도 두 후보는 돌봄 문제와 디지털교육 분야에 관해서 모두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정민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