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 가능한 응급환자들이 적절한 의료지원을 받지 못해 목숨을 잃는 가운데, 경기도가 안전한 응급의료 진료 환경 구축을 통한 중증 응급질환 사망률 저감에 나섰다.
25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17일 지역응급의료 강화와 응급의료 취약지 해소를 목표로 ‘2022년 경기도 응급의료시행계획’을 수립했다.
이번 계획은 ▲현장·이송 단계 ▲응급실 단계 ▲응급의료 기반 등 3대 중점과제로 구성됐다.
우선 도는 현장·이송 단계에서 병원 전단계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체계를 도입했다. 이에 올해 상반기부터 고양·일산·파주 권역에서 환자 위급 정도에 따라 환자를 분산시키는 ‘병원 전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체계’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환자의 중증도 분류 기준에 맞는 구급대원 교육 훈련도 병행한다.
중증 환자의 안전한 이송을 위해 응급환자 이송업소도 관리·감독한다. 지난해 말 기준 도내 응급환자이송업소는 28개소(남부 20개소, 북부 8개소)로 이송 처치료 과다 징수, 응급구조사 미탑승 등 위반사항을 점검하고 있다. 또 응급의료 전용헬기 운용을 위한 정식 계류장 확보도 추진 중이다.
응급실 단계에서는 올해 도내 모든 응급의료기관의 지정이 만료됨에 따라 하반기까지 재지정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응급의료기관은 3개 등급(A·B·C)으로 평가 결과가 나뉘어 보조금이 지급되는데, 지난해는 전체 응급의료기관 62개소 중 A등급이 15개소, B등급은 47개소로 평가받았다. 아울러 소아응급환자를 위해 야간·휴일기관 진료를 확대, 소아환자가 응급실이 아닌 외래에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달빛어린이병원 지정을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경기남부에는 수원과 평택 2개소, 경기북부에는 고양, 남양주 등지에 5개소가 있다.
이 밖에도 응급의료기반 분야에서는 경기도 특성에 맞는 응급의료 정책개발과 실행방안을 모색하고자 응급의료위원회, 응급의료지원단. 지역별 응급의료협의체 등을 활성화한다는 계획이다.
도는 이를 토대로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 등 중증 응급질환 사망률이 대폭 낮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지난 2015년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이 무려 30.5%에 이르렀다. 올해는 응급의료시행계획을 통해 13%까지 줄여보려 한다”며 “경기도 응급의료 체계 발전의 초석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김현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