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장 후보들 탄소중립 등 환경정책 공약 없어

오는 6월1일 열리는 파주시장 선거에 출마한 여야 후보들의 공약에 기후·환경정책이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종 개발공약에 밀려서다.

환경단체들은 인류의 불가피한 생존전략인 탄소중립산업 전환정책이 이 처럼 실종됨에 따라 기후위기시대 민선8기 파주환경정책의 후퇴를 우려하고 있다.

이 같은 사실은 경기일보가 여야 파주시장후보 환경·에너지공약을 분석한 결과 드러났다.

30일 경기일보가 여야 파주시장후보캠프 환경·에너지공약 분석 결과 탄소중립과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공약이 전무, 앞으로 파주시정에서 기후·환경정책이 찬밥신세를 면치 못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탄소중립산업전환은 UN 등 전 세계 공통으로 추진하는 지구생존의 정책이며 파주 등 지방정부도 예외가 아니다.

하지만 여야 파주시장후보 공약 중에는 개발공약만 난무한 채 기후· 환경정책 추진공약은 아예 배제됐다.

이와 관련 , 더불어민주당 김경일 후보 측은 최근 한살림 고양파주생협 등 생협 3곳 조합원들의 질의에 대한 정책답변서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탄소중립대응 등 탄소중립산업으로의 전환은 필연적이며 빠른 정책전환을 시사했다. 김 후보 측은 “ 기후위기와 환경보호 등을 위해 관련 조례를 제정하는 한편 탄소중립을 위해 자원순환시설 설치와 타 시·군처럼 기후대응과  등 관련 조직 설치 확대 등 시민 모두 이해할 수 있고 수긍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겠다”고 약속했다.

국민의힘 조병국 후보 측은 “파주시가 탄소중립 선도도시가 되도록 탄소중립 기후변화 대응조례 제정과 함께 기후대응기금 설치 등 기후변화대응계획을 수립하겠다”며 “자원순환폐기물 제로도시 추진을 위해 기후에너지 전담조직을 확대 개편하겠다”고 말했다.

환경운동연합 측은 “파주시장 후보 등 전국 상당수 기초지자체장 후보들의 환경·에너지 공약이 실종됐다. 분권과 풀뿌리 민주주의를 핵심으로하는 지방정부는 기후 ·환경정책 주체가 될 수 있다”며 “탄소중립과 기후변화 대응 등은 생존문제로 민선 8기 시정에서 최우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파주=김요섭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