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030 지방의원 증가, 청년정치 활성화 기대한다

6·1 지방선거에서 2030세대의 의회 진출이 크게 증가했다. 30대 이하 지방의원 당선인은 광역의원 83명, 기초의원 333명이다. 광역 46명, 기초 192명이 당선된 2018년 지방선거 때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기초의원은 30대 이하 비중이 처음으로 전체 의원 수의 10%를 넘었다.

지난해 말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지방선거에 출마할 수 있는 나이가 만 25세에서 만 18세로 낮아져 10대 당선인도 처음으로 1명 탄생했다. 최연소 당선인은 고양시 기초의원 비례대표로 뽑힌 국민의힘 천승아(19) 후보다.

경기도의 경우 이번 선거에서 당선된 제11대 경기도의회 의원 156명(지역구 141명, 비례 15명) 중 20명이 20~30대다. 20대 5명은 모두 더불어민주당 소속이다. 당선인 중 초선의원은 109명으로, 약 70%가 새 얼굴로 교체됐다. 정당별 의석은 국민의힘 78명, 민주당 78명으로 거대 양 당이 절반씩 차지했다. 국민의힘과 민주당의 의석이 똑같아 조례와 안건 심의·의결 과정에서 마찰이 예상된다. 양 당의 독식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소수정당이 1명도 진입하지 못한 것은 상당히 안타까운 일이다.

경기도의원 20명(12.3%)이 2030세대라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10대 도의회에서 30대가 5명이고, 20대가 1명도 없었던 것에 비하면 놀라운 결과다. 2030세대의 약진은 청년정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데다 주요 정당이 청년을 적극 공천했기 때문이다. 국민의힘은 경선 과정에서 청년과 정치신인에게 가산점을 줬고, 민주당은 청년을 30% 이상 의무적으로 공천했다.

청년들의 지방의회 진입이 늘었지만 청년정치가 얼마나 구현될 지는 미지수다. 전체 인구대비 비중도 여전히 낮은 편이다. 청년 정치인들이 풀뿌리 정치부터 배우고 경험을 쌓아 미래 일꾼으로 커 나갈 수 있도록 기성 정치인들이 문을 활짝 열어줘야 한다. 젊은이들의 참신한 아이디어가 의정활동에 반영돼 지역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 청년들의 참여는 그들의 주요 관심사인 일자리나 주거 문제 등을 직접 다룰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이들이 정당의 거수기 노릇을 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여야는 이번 선거를 계기로 청년층의 정치 참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기성 정치인들이 청년 정치인을 키우는데 소홀했다. 젊은 나이에 정치에 입문해 제대로 훈련받고, 경험을 쌓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게 중요하다. 풀뿌리 지방정치로 시작해 보다 큰 정치 무대로 진입할 수 있도록 성장 발판을 마련해줘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