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평 캠프마켓, 81년만에 시민 품으로 [포토뉴스]

휴일인 12일 오전 인천 부평구 부평캠프마켓 미군기지에 '6월에 부평단오축제' 행사를 즐기려는 시민들과 아이들이 붐비고 있다. 1939년 일제 무기공장 '조병창'으로 문을 연 캠프마켓은 1945년 해방 후 미군 기지로 쓰이다가, 우여곡절끝에 지난 2020년 10월, 81년만에 시민의 품으로 돌아왔다. 장용준기자
휴일인 12일 오전 인천 부평구 부평캠프마켓 미군기지에 '6월에 부평단오축제' 행사를 즐기려는 시민들과 아이들이 붐비고 있다. 1939년 일제 무기공장 '조병창'으로 문을 연 캠프마켓은 1945년 해방 후 미군 기지로 쓰이다가, 우여곡절끝에 지난 2020년 10월, 81년만에 시민의 품으로 돌아왔다. 장용준기자
휴일인 12일 오전 인천 부평구 부평캠프마켓 미군기지에 '6월에 부평단오축제' 행사를 즐기려는 시민들과 아이들이 붐비고 있다. 1939년 일제 무기공장 '조병창'으로 문을 연 캠프마켓은 1945년 해방 후 미군 기지로 쓰이다가, 우여곡절끝에 지난 2020년 10월, 81년만에 시민의 품으로 돌아왔다. 장용준기자
휴일인 12일 오전 인천 부평구 부평캠프마켓 미군기지에 '6월에 부평단오축제' 행사를 즐기려는 시민들과 아이들이 붐비고 있다. 1939년 일제 무기공장 '조병창'으로 문을 연 캠프마켓은 1945년 해방 후 미군 기지로 쓰이다가, 우여곡절끝에 지난 2020년 10월, 81년만에 시민의 품으로 돌아왔다. 장용준기자
12일 오전 인천 부평구 부평캠프마켓 미군기지에서 열린 '6월에 부평단오축제' 행사에서 아이들이 대형 워터슬라이드를 타며 더위를 식히고 있다. 1939년 일제 무기공장 '조병창'으로 문을 연 캠프마켓은 1945년 해방 후 미군 기지로 쓰이다가, 우여곡절끝에 지난 2020년 10월, 81년만에 시민의 품으로 돌아왔다. 장용준기자
12일 오전 인천 부평구 부평캠프마켓 미군기지에서 열린 '6월에 부평단오축제' 행사에서 아이들이 대형 워터슬라이드를 타며 더위를 식히고 있다. 1939년 일제 무기공장 '조병창'으로 문을 연 캠프마켓은 1945년 해방 후 미군 기지로 쓰이다가, 우여곡절끝에 지난 2020년 10월, 81년만에 시민의 품으로 돌아왔다. 장용준기자
12일 오전 인천 부평구 부평캠프마켓 미군기지에서 열린 '6월에 부평단오축제' 행사에서 아이들이 대형 워터슬라이드를 타며 더위를 식히고 있다. 1939년 일제 무기공장 '조병창'으로 문을 연 캠프마켓은 1945년 해방 후 미군 기지로 쓰이다가, 우여곡절끝에 지난 2020년 10월, 81년만에 시민의 품으로 돌아왔다. 장용준기자
12일 오전 인천 부평구 부평캠프마켓 미군기지에서 열린 '6월에 부평단오축제' 행사에서 아이들이 대형 워터슬라이드를 타며 더위를 식히고 있다. 1939년 일제 무기공장 '조병창'으로 문을 연 캠프마켓은 1945년 해방 후 미군 기지로 쓰이다가, 우여곡절끝에 지난 2020년 10월, 81년만에 시민의 품으로 돌아왔다. 장용준기자
12일 오전 인천 부평구 부평캠프마켓 미군기지에서 열린 '6월에 부평단오축제' 행사에서 아이들이 대형 워터슬라이드를 타며 더위를 식히고 있다. 1939년 일제 무기공장 '조병창'으로 문을 연 캠프마켓은 1945년 해방 후 미군 기지로 쓰이다가, 우여곡절끝에 지난 2020년 10월, 81년만에 시민의 품으로 돌아왔다. 장용준기자
12일 오전 인천 부평구 부평캠프마켓 미군기지에서 열린 '6월에 부평단오축제' 행사에서 아이들이 대형 워터슬라이드를 타며 더위를 식히고 있다. 1939년 일제 무기공장 '조병창'으로 문을 연 캠프마켓은 1945년 해방 후 미군 기지로 쓰이다가, 우여곡절끝에 지난 2020년 10월, 81년만에 시민의 품으로 돌아왔다. 장용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