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당선인의 경기도지사직인수위원회가 아직 미완성이다. 염태영·반호영 공동위원장을 중심으로 하는 체제는 이미 꾸려졌다. 지난 9일 현판식까지 마쳤다. 13일부터 공식 활동도 시작했다. 안 그래도 보름여 짧은 활동 기간이다. 이런 상황에서 인수위 정원 20명 중 2명이 공석이다. 김 당선인이 국민의힘 경기도당을 배려한 몫이다. 지난 7일 국민의힘 경기도당을 전격 방문한 김 당선인이 제안했고, 이를 김성원 국민의힘 경기도당 위원장이 받아들였다.
도민의 관심을 모았던 김 당선인의 대표적 협치 행보였다. 이 약속이 아직도 실현되지 않고 있다. 국민의힘 도당 측 추천이 없어서다. “계속 내부 논의가 진행 중”이라는 설명만 나온다. 과거 남경필 지사의 ‘연정부지사직’과 같은 실질적 제안이 없기 때문이라는 얘기도 들린다. 그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할이 없으니 특정인을 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 사이 한시 기구인 인수위의 활동 시간만 흘러 간다. 이러다가 ‘없던 일’로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다.
상황이 여기에 이르렀으니 우리의 생각을 밝혀볼까 한다. 협치의 목적이 어디에 있는지를 생각해 보자. 당연히 경기도정의 고객인 도민의 행복이다. 그러면 협치의 효과도 도민에 돌아가는 것이어야 한다. 민주당 인사가 갈 자리에 국민의힘 인사가 가는 것은 도민 이익과 무관하다. 그냥 정치인들끼리 자리 나누는 것에 불과하다. 심지어 도민에는 책임 행정 실종이라는 엉뚱한 부작용으로 나타날 수 있다. 통 컸던 ‘남경필식 연정’을 도민이 싸늘히 봤던 이유다.
‘김동연 인수위’ 특징도 생각해 보자. 정치를 뺀 실무형이다. 하물며 상대 정당 정치인이다. 할 일이 없을 수 있다. 그래서 생각해 보는 게 실무형 인사 포용이다. 선거 상대의 정책 입안자를 끌어 안는 것이다. 선거에서 김은혜 후보 측도 많은 공약을 냈다. 출산·육아 등 지원 공약, 재산세 감면 공약 등 주목 받은 공약이 많았다. 고쳐 쓰면 도민에 도움 될 아이디어가 있다. 좋은 공약을 골라 쓴다면 도민에는 이익이다. 정치인 몫 분배보다 도민이 잘했다고 할 것이다.
대개 정책 입안자들이 갖는 특징이 있다. 정치색이 옅다. 공직자 출신, 각계 전문가들이라서다. 협치 후 조직 내 화학적 결합을 이루는 데 긍정적 요소다. 꼭 국민의힘의 천거를 기다릴 일만도 아니다. 당선인 측에서 특정인을 지정해 요청하는 방법도 있다. 인수위 일정상 다소 늦은 감은 있다. 하지만 도정 4년을 본다면 검토할 가치는 있다고 본다. ‘협치의 긍국적 목적은 도민의 행복이다.’ 이 단순한 원칙만으로 고민의 이유로 충분하다고 우리는 본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