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 당선인의 협치를 위한 ‘광폭 행보’가 주목받고 있다. 김 당선인은 13일 오세훈 서울시장, 유정복 인천시장 당선인과 잇달아 만나 교통·주거 등 수도권 공통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연쇄 회동은 김 당선인의 요청으로 이뤄졌다. 수도권 광역단체장 당선인들은 경기-서울-인천 3자 간 대화채널 등 당적을 넘는 협력관계 구축에 뜻을 모았다.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김 당선인이 국민의힘 소속 오 시장과 유 당선인을 찾은 건 의미있는 일이다. 수도권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여야나 진영, 이념은 별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이날 김 당선인은 “경기도와 서울시, 인천시까지 포함해서 수도권은 광역적으로 풀어야 할 문제가 많다”며 “서울시민과 경기도민의 삶의 질을 한 단계 높이는 데 협력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오 시장도 “주거나 교통, 각종 환경문제 등 경기와 서울이 마음을 모아 시행해야 할 중요한 정책이 많다”며 “서울과 경기, 인천이 함께 하는 3자 협의체 같은 논의기구를 조속히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어 만난 유 당선인도 “인천시와 경기도가 좋은 협력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두 지역뿐 아니라 대한민국 발전을 위해서도 중요하다”며 “서울시와도 공조할 일이 많기 때문에 끈끈한 관계를 유지하겠다”고 했다.
김 당선인이 제안한 ‘수도권 3자 협의체’에 대해 3개 광역단체장 당선인들이 공감대를 형성했다. “경기도민을 위한 일이라면 쫓아가서라도 만나겠다”는 김 당선인에 거는 기대가 크다. 여야를 가리지 않고 직접 발 벗고 수도권을 돌며 진영논리를 넘어 도정을 이끌겠다는 의지를 보인 모습이 인상적이다. 이젠 실행에 옮기는 일이 중요하다. 서울·인천시도 같은 뜻을 갖고 있는 만큼 윈윈할 수 있는 협력관계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경기·인천·서울은 지리적으로 인접한 데다 이해관계가 얽힌 현안이 많다. 인구의 절반 이상인 2천600만여명이 살다보니 교통, 환경, 주거 등 여러 문제가 노출되고 있다. 서울시 경제활동의 약 3분의 1은 경기도에서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한다. 교통문제에 있어 광역버스 노선과 횟수를 늘린다든가, GTX 노선 등 논의할게 많다. 지역간 이해관계가 엇갈려 해결 못하는 것도 있다. 인천시가 2025년부터 서울·경기의 쓰레기를 받지 않겠다고 했다. 쓰레기 문제나 대기·수질오염 등 환경문제도 광역적으로 풀어야 한다.
수도권은 지자체 간 광역행정 협의가 상당히 중요하다. 다양하고 복잡한 행정 수요에 부응하려면 당적을 떠나 지자체간 협력·협치는 필수다. 수도권 단체장 회동을 정례화해 협치의 지방자치 모델을 보여주길 바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