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대] 당선인 핵심 키워드

인터넷 정보 검색시 포털 검색창에 ‘키워드’를 입력해 정보를 얻는다. 구체적인 핵심 단어를 입력해야 정보의 정확도가 높아진다. 키워드가 부정확할 경우 때로는 엉뚱한 검색 결과가 나와 황당할 때도 있다.

▶6·1지방선거가 마무리 되고 지자체 인수위원회가 꾸려졌다. 지자체 인수위는 당선인이 임기 내 실천한 공약 사항 등을 점검, 최종 결정한다. 이와 함께 정책, 사업 분야 등 핵심 키워드 발표를 통해 당선인의 향후 정책 방향을 알려주기도 한다. 6·1 지방선거 단체장 당선인들의 주요 핵심 키워드 보면 경제, 일자리, 균형발전, 소통 등이다. 당선인 핵심 키워드 속에는 시민과 지자체를 위한 의지가 담겨 있다. 자신이 앞으로 무엇에 비중을 두고 정책을 추진할 것인지 한 단어로 알려준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다양한 이유로 지방자치단체장이 바뀐 곳이 많다. 경기도내 31개 기초단체장 선거는 국민의힘 22곳, 더불어민주당이 9곳을 차지했다. 지난 2018년 지방 선거에서 국민의힘 단체장이 31개 시군 중 단 2곳에 그친 것과 비교하면 그야말로 전세 대 역전이다.

▶선거 결과를 보면 지자체 정책기조에도 큰 변화가 예고된다. 정권이 바꿨으니 정책이나 사업 변경은 어쩌면 불가피한 수순일 수 있다. 그러나 무조건 전임자 사업을 뒤집는 것은 경계할 필요가 있다. 권력을 잡은 당선인이 전임자의 사업에 대해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기 마련이다. 정치인들은 무엇이든 자신이 처음 벌이는 일을 좋아한다. 전임자 사업은 자신이 주체가 돼서 한 사업이 아니기 때문에 좋은 사업도 자신의 공적이 될 수 없다고 판단하는 듯 하다. 또 선거 과정에서 지나친 네거티브와 경쟁으로 사이가 틀어질수록 전임자 정책은 철퇴를 맞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벌써부터 일부 지자체에서 전임 단체장 사업이나 정책을 백지화하겠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사업 초기의 경우 정책 뒤집기가 수월할 수 있지만 수십억, 수백억원 예산이 투입되고 시민 의견이 반영돼 진행된 사업에 대해 무리한 뒤집기는 독이 될 수 있다. 예산 낭비 등으로 피해는 시민들에게 돌아간다. 소통, 경제, 일자리 등 당선인 핵심 키워드만 보면 모두 시민 중심이다. 전임자가 한 정책이나 사업도 시민을 위한 것이었다는 점을 기억하고, 진행된 사업 변경은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

이선호 지역사회부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