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지 말아주세요”… 후배 경찰들의 호소

김형기 고양경찰서장, 순직·공상 경찰 넋 기리며 역사 인식 제고 당부

고양경찰서장을 비롯해 전현직 경찰 50여명이 지난 3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이동에 위치한 고양시 현충공원에서 호국선열들의 넋을 기렸다. 사진 고양재향경우회 제공

6월은 호국보훈의 달이다. 이맘때면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말을 되새기며 아쉬워하는 이들이 있다. 대한민국 경찰이다. 전몰군경, 상이군경 등으로 군인과 묶여 불리다 보니 상대적으로 수가 적은 경찰들의 희생이 제대로 조명되지 못하고 있어서다.

이 같은 현실을 안타까워하며 경찰의 역사 찾기를 위한 발걸음을 시작한 김형기 고양경찰서장을 만났다. 그는 6·25 한국전쟁 제72주년 기념식을 앞둔 지난 23일 만남을 “서운하다”는 말로 시작했다. 경찰조차 앞선 이들의 역사와 희생을 기억하지 못하는 현실에 대한 안타까움을 함축한 말이었다.

실제 경찰통계 등에 따르면 순직·공상 경찰관은 6·25 한국전쟁 당시에만 1만7천여명에 이른다. 이후 50여년간 근무중 숨지거나 다친 이들이 4만5천명 가까이 된다.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순직경찰만 해마다 15명 전후로 발생했다. 공상자는 연2천명 수준으로 늘고 있다.

같은 기간 군인들의 희생보다는 분명 적다. 하지만 적은 수는 아니다. 그럼에도 대부분의 보훈관련 정책이나 제도, 행사들은 군인들이 중심이다. 역대 국가보훈처장조차 대부분은 군 장성 출신이다. 경찰이나 소방 출신은 1명도 없었다. 심지어 경찰 내부에서도 선배 경찰들의 발자취조차 제대로 남겨지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김형기 고양경찰서장은 지난 23일 만남에서 국가와 국민을 위해 희생한 경찰들을 기억해달라는 말을 거듭 강조했다. 오준엽기자

이와 관련 김 서장은 “경찰관 임관 전 교육기관인 경찰중앙학교에서도 ‘경찰사(史)’는 가르치지 않는다. 교재도 없다”면서 “우리가 갑자기 생겨난 것도 아니고 선배들이 쌓아온 토대 위에 지금이 있는데 후배들이 그런 희생을 잊어서는 안 될 것 같다는 생각을 해왔다”고 했다.

그리고 생각을 행동으로 이었다. 그는 지난 3일 현충일을 앞두고 고양재향경우회와 뜻을 모아 지역관서장을 비롯한 50여명의 전·현직 경찰들과 함께 고양시 현충공원 내 현충탑을 찾았다. 지금까지 소수의 고위직만으로 참배를 하거나 그마저도 하지 않았던 과거와는 달랐다.

이에 대해 김 서장은 “거창한 것은 아니다. 매번 지역발령을 받으면 경찰서 내 마련된 현충탑 같은 곳에 갔는데 고양은 현충공원만 있어 그리로 간 것”이라며 “요즘은 많이 소원해지기도 했고, 모두가 다시금 선배들을 기억하는 시간이 있었으면 싶어 동참하자고 했다”고 설명했다.

덧붙여 “고양경찰의 역사만 73년이다. 경찰서도 옛 일산역 앞에 있었다. 하지만 이젠 흔적도 남아있지 않고 이런 이야기를 아는 사람도 드물어졌다”면서 “서장 임기가 1년이라 많은 것을 할 순 없지만 경우회와 함께 역사의 흔적을 하나하나씩 남겨나갈 계획”이라는 다짐도 전했다. 그 일환으로 조만간 과거 고양서 자리에 역사안내판 같은 발자국도 찍히길 기대해본다.

오준엽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