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수소경제’ 겉돈다… ‘수소차 보조금’ 조차 인색

신차 구입시 시비 1천만원… 지원금 규모 4년째 동결
경쟁 중인 부산·울산 비해 수백만원 적어 보급 차질

인천시의 수소차 보조금 지원 규모가 수소경제 구축을 두고 경쟁 중인 다른 지역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시에 따르면 수소 생산기반 구축과 수소산업 육성을 목표로 2천733억원이 들어가는 수소생산클러스터 조성사업 등 다양한 수소경제 구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이들 사업을 통해 수소 생태계를 조성하고 지역의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면 지역경제 발전과 고용 창출 등에 효과가 클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시의 수소차 보조금 지원은 다른 지역과 비교해 턱없이 부족하다. 시는 현재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보급 확대 등을 위해 수소차를 사는 시민에게 시비 1천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이는 수소경제 구축을 두고 경쟁 중인 부산, 울산과 비교하면 각각 200만원과 150만원이 적은 수준이다. 인근 경기 화성과 비교했을 때에는 무려 750만원의 차이가 난다.

이 같은 적은 지원에 막혀 시의 수소차 보조금 관련 예산 집행률은 2020년 92.5%에서 지난해 63.7%(추가경정예산 포함)로 추락했다. 올해는 이날 기준으로 14.8%에 머물고 있다. 이처럼 수소차 보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은 결과적으로 수소경제 활성화에 악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시민 A씨(37)는 “최근 추세에 맞춰 수소차 구매를 생각했지만, 인천의 보조금 지원 규모가 전국 꼴찌 수준이라 망설이고 있다”며 “충청남도 태안군에 사는 부모님 명의로 500만원을 더 지원받고 수소차를 사는 방법도 고려 중”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시는 보조금 지원이 아닌 수소차 관련 인프라를 확충하는 방법 등으로 수소차 보급을 늘려나가겠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보조금 지원 규모를 늘리기 보다는 많은 시민에게 혜택을 주는게 맞다고 판단해 시비 1천만원으로 2019년부터 4년째 동결 중”이라며 “대신 민간의 수소차 수요를 높이기 위해 수소충전소 확대 등의 사업을 함께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올해 관련 예산 집행률이 낮은 것은 반도체 수급 문제로 수소차 출고가 늦어지는 문제도 있는 것”이라고 했다.

박주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