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소각장 사용 불투명, 쓰레기 대란 우려
인천 부평·계양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을 처리할 자원순환센터(소각장)의 확보에 경고등이 들어왔다. 인천시가 활용이 불투명한 경기 부천시의 광역 소각장만 믿고 있다가 자칫 계양테크노밸리(계양TV) 등의 자체 소각장 건립이 늦어지면 ‘쓰레기 대란’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시의 정책 결정 등이 시급하다.
11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오는 2026년부터 수도권매립지의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를 앞두고 부평·계양지역에서 발생하는 1일 300t의 생활폐기물을 소각할 동부권역 소각장 확보를 추진 중이다. 앞서 인천시는 서울시 강서구와 부천시 등과 함께 부천의 대장동 소각장을 증설·현대화해 광역화한 뒤, 부평·계양지역의 폐기물을 처리하기로 지난해 합의했다. 다만 부천 주민들의 반발과 6·1 지방선거 등으로 최종 협약서에 서명하지 못했다.
그러나 인천시의 이 같은 계획은 불투명해지고 있다. 최근 부천시가 대장동 소각장의 증설·현대화 사업을 시민주권위원회를 통해 논의한 뒤, 결과에 따라 사업 추진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앞서 조용익 부천시장은 선거운동 과정에서 시민주권위를 통해 주요 현안을 결정한다고 공약했다. 부천시가 이 같은 절차를 밟을 경우 시민주권위 관련 조례 제정을 비롯해 위원회 구성 및 논의 과정 등을 거치면 빨라야 내년에나 가부 결정이 난다.
이 때문에 지역 안팎에선 인천시가 부천시의 결정만 기다릴 것이 아니라, 자체적으로 계양TV 등에 소각장을 건립하기 위한 절차를 밟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부천시가 내년에 대장동 소각장의 증설·현대화 사업을 백지화하면 인천시는 소각장 건립을 위한 골든타임을 놓치기 때문이다.
인천시가 소각장을 건립하려면 입지선정위원회를 통해 소각장 부지를 확정한 뒤, 용도변경, 사업 타당성 조사 및 환경부의 국비 신청 등 수개월에 걸쳐 행정 절차를 밟아야 하고 소각장 건립 공사만 3년이 꼬박 걸린다. 즉 당장 절차를 밟아도 2025년 12월까지 소각장을 짓는 일정이 빠듯하다.
앞으로 소각장 건립 일정에 차질을 빚어 부평·계양구의 폐기물을 처리하지 못하면, 지역 내 다른 소각장을 써야 하기에 연쇄적인 소각장 포화에 따른 쓰레기 대란 역시 빚어질 우려가 크다. 앞서 민선 8기 인천시장직인수위원회도 “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 및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에 따른 소각장 건설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박유진 인천시 자원순환에너지본부장은 “우선 부천시와 적극적으로 협의해 계획대로 대장동 소각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어 “만약 부천시가 사업을 백지화하면, 현재 있는 소각장을 활용하거나 전처리시설 건립 등을 통해 쓰레기 대란의 발생을 막을 수 있도록 비상계획도 함께 세우겠다”고 했다.
이지용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