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당대표 경선에 나선 이재명(인천 계양을)·박용진·강훈식 후보(기호순)가 9일 한 방송 토론회에서 ‘기소 시 당직 정지’를 규정한 당헌 개정을 두고 정면으로 맞섰다.
박 후보는 이날 CBS 토론회에서 당헌개정 논란과 관련해 이 후보를 향해 “어쩌다 우리 민주당이 부정부패에 대한 결연한 의지를 표현하는 당규조차 개정하려고 하는지 모르겠다”며 선공을 날렸다.
이에 이 후보는 “검찰공화국이라고 불릴 정도로 지나친 검찰의 권력 행사가 문제다”며 “검찰권 남용이 될 수 있는 상황에서 여당과 정부의 야당 침탈 루트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소만으로 당직을 정지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응수했다.
이어 “이미 당원들의 당헌 개정 운동이 생기기 전에 전당대회 준비위원회와 비대위원회에서 추진했다”며 “박 후보 생각처럼 이 조항을 개정하려는 게 저 때문이 아니다. 마치 저 때문에 한 것처럼 얘기하지 않으면 한다”고 주문했다.
그러자 박 후보는 “논란이 한참 됐는데 왜 아무 말 하지 않았던 것이냐. 그러니 많은 언론과 국민이 ‘이재명 때문’이라고 여기는 것”이라며 “여당 됐을 때와 야당 됐을 때 도덕적 기준이 다르다는 내로남불 논란, 사당화 논란에 휩싸이지 않아야 한다. 국민의힘은 야당일 때도 이 조항을 유지했다”고 지적했다.
반면 강 후보는 “이 문제가 이 후보를 가리키느냐, 안 가리키느냐를 떠나서 당원들에게서 제기된 것이라면 절차적으로 논의해봐야 한다”면서도 “다만 시기가 적절치 않다는 것은 지적해야 한다”는 말했다.
강 후보는 “(개정을) 안할 수 있다면 안 하는 게 맞는다”면서도 “개정한다면 불필요한 기소를 통해 야당을 탄압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만큼 이를 고려하는 게 좋겠다”고 밝혔다.
또, 후보들은 윤석열 정부가 실정을 거듭하고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지만 대여 투쟁 전략을 두고는 입장을 달리했다. 이 후보는 “당대표가 되면 여야 영수회담을 반드시 제안하고 실제로 실현해서 국민의 목소리를 전달하고 협치가 가능한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했다.
박 후보는 “야당 대표와 대통령이 만나는 것으로 끝날 게 아니라, 각 정책분야에서 각 당의 의견이 모이도록 하는 여야정 협의체 구성까지 합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강 후보는 “국정운영을 완전히 바꿔야 한다. 내각 총사퇴와 대통령실 전면개편을 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현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