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만공사, 항만 최초 ‘부잔교시설 안전통합관제시스템’ 개발사업 추진

image
인천항만공사(IPA)는 항만 최초로 ‘부잔교 시설 안전통합관제시스템’ 개발사업을 추진한다. 사진은 ‘부잔교 안전통합관제시스템’ 구성도. 인천항만공사 제공

인천항만공사(IPA)는 항만 최초로 ‘부잔교 시설 안전통합관제시스템’ 개발사업을 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IPA는 앞서 지난달 28일 중소벤처기업부 ‘2022년도 중소기업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공동투자형 과제’로 이 사업을 선정받았다.

이 사업은 항만 등에 접안한 선박의 계류를 위한 구조물인 부잔교와 관련해 안전관제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부잔교시설 안전관리 및 시민재해 예방을 비롯해 미등록 선박 무단 시설사용 등을 적발하고 항계 질서 확립을 목표로 추진한다.

또 IPA는 이 사업을 통해 소형선 접안(안전)기준이 불명확한 부잔교시설의 안전지표를 정립하고, 항계 내 상황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해 위험 상황 발생 시 자동 비상방송 등을 송출할 예정이다. 또 부잔교 사용 선박 현황을 실시간으로 수집한다.

특히 IPA는 이 사업에 디지털트윈 및 라이다(LiDAR) 등의 최신 기술을 적용하는 동시에 선박자동식별장치기지국 정보와 기상청 오픈데이터를 연계해 가상 부잔교 환경을 실시간 3D맵핑으로 구현할 계획이다.

이 사업의 총 사업비는 8억1천500만원으로 중기부와 IPA가 각각 3척6천만원씩 분담하고 나머지는 이 사업에 참여하는 중소기업이 부담한다.

홍성소 IPA 건설부문 부사장은“내년 12월까지 이 시스템을 개발해 연안여객터미널 부잔교시설에 설치할 계획이다”고 했다.

이승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