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연안여객선 준공영제 지원 대상에서 빠진 4개 여객선 항로에 자체 예산을 지원하는 방안을 본격화한다.
17일 시에 따르면 최근 시와 옹진군은 국가보조항로(여객선 준공영제) 제외항로 지원을 받을 사업자를 선정해 유류비 등 30억원의 손실 보전을 추진키로 했다.
앞서 지난해 해수부는 올해 준공영제 선정 항로로 백령~인천, 인천~덕적 항로 등 2개만 선정했다. 이로 인해 준공영제에서 제외된 항로에서 종전 왕복 2항차를 운항하던 선사가 1항차로 단축할 수 밖에 없어 주민 불편이 증가했고, 시의 섬 주민 1일 생활권 정책도 무산 위기를 맞았다.
이에 시는 군과 50%씩 총 30억원을 분담해 4개 항로의 2항차 운항에 따른 유류비 등을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4개 항로는 인천~이작, 장복~삼목, 인천~연평, 대부~이작 등으로 지원 항목은 인건비와 2항차 유류비, 선박수리비 등이다. 시는 각 항로에 대한 지원사항을 세분화해 검토 후 지원할 방침이다.
앞서 장봉~삼목 선사인 세종해운㈜는 시에 야간운항 및 유류비 명목으로 7천800만원 가량을 요청했다. 인천~연평과 인천~이작 선사인 고려고속훼리㈜는 1항차 증편 및 유류비 등으로 각각 16억4천만원, 8억3천500만원 가량이 필요하다고 시에 요청했다. 대부~이작 선사인(유)대부해운은 2년 연속 적자항로로 이를 보존하기 위한 3억원을 요청했다.
시 관계자는 “정부의 여객선 준공영제 지원에서 제외된 선사들의 단축 운항으로 주민 불편이 큰 만큼, 군과 함께 손실 보전금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했다. 이어 “다음달께 여객선 항로 운항 지원을 위해 추가경정예산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이승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