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경기본부, "생활물류산업 道 성장동력으로 육성해야"

그동안 저부가가치 산업으로 여겨지던 생활물류산업(택배, 퀵서비스 등)을 경기지역의 성장동력으로 적극 육성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발전된 인프라와 입지적 강점 등을 활용해 경기도를 생활물류산업화의 첨단 요지로 성장시켜야 한다는 주장이다.

한국은행 경기지역본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지역 생활물류산업의 성장동력화 가능성’(경제조사팀 나현주 과장, 조사역 이서현·윤환희) 보고서를 31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생활물류산업은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경제 가속화로 빠르게 성장했다. 택배와 퀵 서비스의 성장률(매출액 기준)은 2020년 40.6%로 전년(15.0%)보다 높은 폭으로 상승했다. 지난해 국민 1인당 연간 택배 이용횟수 역시 70회로 2020년보다 8.0% 늘었다.

경기지역은 이 같은 성장세를 가속화시켜 디지털 물류기술 중심지로 성장할 수 있는 최적의 여건을 갖추고 있다.

지식기반산업 기업들과 연구소 등이 집적돼 있고 R&D 인력 유치가 용이해 디지털 물류기술개발에 유리한 환경이기 때문이다. 또 주요 온라인쇼핑 업체들의 물류센터가 경기도에 다수 소재해 있는 점도 디지털 물류화를 가능케 하는 요인이다. 도내 신규등록 물류창고의 비중(전국대비)은 2021년 57.3%로 2019년(39.9%) 보다 증가했고, 주요 업체들의 풀필먼트센터(물류창고)도 경기지역에 다수 소재한다.

특히 전국 기준 가장 큰 인구 규모와 온라인쇼핑 이용 비중이 높은 생산가능인구(만15세~64세 인구)가 많은 것도 높은 성장 동력 중 하나로 꼽힌다. 인구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만큼 생활물류 수요 형성에 절대적으로 유리하다는 분석이다.

나현주 과장은 “생활물류산업은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경제 확산으로 큰 폭으로 성장했으며, 1인가구 비중 증가 등으로 앞으로도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면서 “경기지역은 산업 성장에 있어 최적의 요건을 갖춘 만큼 지속 가능한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수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