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기피시설을 둘러싼 고양특례시와 서울특별시 간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난지물재생센터 현대화 문제가 재점화한지 불과 1개월여가 지나지 않아 또다시 ‘마포자원회수시설(상암쓰레기소각장)’ 지하화 재건축이 발표돼 논란이 커졌다.
고양특례시는 1일 서울시가 기존 자원회수시설 부지 지하에 생활폐기물 소각장을 보다 큰 규모로 짓겠다고 발표하자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이동환 시장은 “사전협의는커녕 아무런 안내조차 없었다”며 “일방적 발표를 강력 규탄한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시가 운영하는 난지물재생센터 문제도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덕은동 주민은 물론 108만 고양 시민을 우롱하는 행태”라면서 “지금이라도 새 소각장 건립을 전면백지화하고 서울시 기피시설의 현대화 등 고양시민이 원하는 대책부터 내놔야 한다”고 덧붙였다..
지난 30년 이상 하수처리시설, 음식물처리시설, 분뇨처리시설, 슬러지건조 및 소각시설 등을 운영하는 서울시 난지물재생센터로 인해 고양 주민이 피해를 봤음에도 보상은커녕 배려도 하지 않으면서 새 소각장을 일방적으로 짓겠다는 서울시의 행태에 강한 불만을 토로한 셈이다.
이와 관련 고양시는 ‘상암동 입지선정 대응 TF’를 구성해 대응하고 필요할 경우 ‘범시민 반대운동’ 등 강력한 대응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기존 서울시 운영 주민기피시설에 대한 대책마련을 위한 대화채널 복구를 강력 촉구했다.
한편 서울시는 입지선정위원회를 구성해 지난달 31일 마포구 상암동 ‘마포자원회수시설’ 부지에 기존 시설을 철거하고 지하에 새로운 소각장을 2026년까지 건설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소각규모는 기존 750t에서 1천t으로 늘고 지상은 공원화할 방침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새로운 자원회수시설은 현재 마포시설을 지하화하고 최신의 고도 환경청정기술과 설비를 도입해 안전하고 깨끗한 시설로 건립할 예정”이라며 “서울시와 서울시민을 위해 꼭 필요한 시설이므로 후보지 인근 주민들의 많은 이해와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고양=오준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