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북부 특화산업인 섬유산업 고도화와 고용안정, 일자리 창출의 중심 역할을 할 ‘경기 고용안정 선제 대응 지원센터(이하 지원센터)’가 출범했다.
경기도와 경기대진테크노파크는 1일 양주 경기섬유종합지원센터 2층에 지원센터 개소식을 갖고 이 같은 사업을 본격 운영한다.
지원센터는 도가 양주·포천·동두천 등 3개 시와 함께 경기지역 ‘고용안정 선제 대응 패키지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마련한 섬유산업 분야 고용지원 거점 시설이다.
도는 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올해부터 2026년까지 양주·포천·동두천 지역을 대상으로 ▲취업 및 채용 토탈지원 ▲섬유기업 시설 개선 및 교육 강화 ▲지속가능한 일자리 육성 등 3가지 프로젝트를 중점 추진한다.
세부 사업은 경기섬유산업연합회 등 6개 전문기관이 수행한다. 특히 지원센터(시·군 일자리센터 포함)는 고용노동 분야 전문 상담자가 상주, 섬유산업 분야 기업 관계자, 노동자 등을 대상으로 상담 등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채용 장려금 지급(기업당 최대 600만원) ▲취업 장려금 지급(1인당 최대 300만원) ▲심리·취업 상담을 통한 1:1 맞춤형 일자리 매칭 서비스 ▲고용서비스(구인·구직·일자리 연계 등) ▲온·오프라인 취업박람회 개최 등 각종 서비스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올해는 지역 섬유산업 분야에서 약 920명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구상이다.
도는 센터가 섬유 기업의 고용안정, 신성장산업 육성에 필요한 전문인력 양성, 일자리 기반 다변화, 산업 생태계 고도화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일자리 연계 전문 플랫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양주·포천·동두천은 전체 제조업의 약 30%가 섬유업체인 국내 최대 섬유산업 밀집지역인 만큼, 코로나19, 글로벌 공급망 변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 기반 산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전망이다.
이에앞서 도와 3개 시는 지난 2월 고용노동부 공모 ‘고용안정 선제 대응 패키지 사업’ 대상으로 선정돼 국비 306억원, 지방비 84억원 등 모두 390억원의 사업비를 확보했다.
한편, 이날 개소식에는 정도영 경기도 경제기획관, 양은익 경기대진테크노파크 원장을 비롯해 강금식 경기고용지청장, 김완규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 위원장, 금철완 양주부시장, 섬유산업 관계자 등 150여 명이 참석했다.
양은익 원장은 “경기북부 섬유기업은 인건비 및 원자재 가격 상승, 오더 감소 등 국내·외 경제상황 악화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번 센터 개소를 통해 섬유기업 퇴직자를 재취업 시키고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력을 매칭해 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도영 경제기획관은 축사를 통해 “고용안정 선제대응지원센터가 경기지역 고용지원의 중심 플랫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 며 “취업을 희망하는 근로자와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 언제든지 매칭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김창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