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민선 8기 핵심 공약인 ‘초일류도시 사업’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시는 이번 사업의 핵심인 ‘뉴글로벌시티 인천’과 ‘제물포 르네상스’ 등의 추진 방향을 정했다.
13일 시에 따르면 뉴글로벌시티의 추진을 위해 강화 남단(19.2㎢)·인천 내항(4.6㎢)·송도국제도시(53.36㎢)·청라국제도시(17.81㎢)·영종국제도시(51.26㎢)·수도권매립지 등을 ‘인천 글로벌 써클’로 설정했다. 뉴글로벌시티는 홍콩 금융기업을 인천에 유치하는 뉴홍콩시티 사업의 범위를 확장해 만든 미래발전 프로젝트다.
시는 인천 글로벌 써클을 통해 이들 지역에 금융·다국적기업, 창업·신산업, 항공·물류, 문화·관광, 도시밸류 등 5개 분야를 중점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각 분야별로 보면 금융·다국적기업 분야는 투자금융사 및 다국적기업 본사 유치, 창업·신산업 분야는 바이오, 로봇, 수소 등 신산업 육성 등을 다룬다. 또 항공·물류 분야는 공항·신항 등을 연계한 무역·물류산업 발전, 문화·관광 분야는 도시 경관 및 레포츠 활성화 등을 추진한다.
도시밸류 분야는 도시디자인 설계 및 글로벌대학 유치 등을 담당한다. 시는 이를 위해 조만간 분야별로 전문가 10여명으로 이뤄진 자문단과 내·외부 TF단을 꾸릴 방침이다. 또 내년까지 사업 전략을 구체화할 마스터플랜 용역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시는 인천 내항 및 주변 원도심의 재개발을 하기 위해 경제·관광·교통·주거 등으로 나눈 제물포 르네상스의 추진 전략을 내놨다. 이를 통해 내항의 경제자유구역 지정, 월미관광특구 연계의 해양레저산업 유치 등을 한다. 또 내항 연계 철도교통망 구축과 수변 주거공간 조성 등에도 나선다. 시는 이달 자문단과 관계기관 정책협력 협의체를 구성하고, 내년 3월에는 마스터 플랜 용역을 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이달 싱가포르와 호주 등을 방문, 도시재생 성공사례를 참고해 이번 사업에 접목하겠다”며 “사업 성공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발굴해 강력하게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지용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